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슈 24] 일 전문가 “도쿄올림픽 내년 개최도 불투명…아베는 게도 구럭도 다 놓쳤다”

공유
0

[글로벌-이슈 24] 일 전문가 “도쿄올림픽 내년 개최도 불투명…아베는 게도 구럭도 다 놓쳤다”

내년으로 연기된 2021년 도쿄올림픽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어떤 유산도 남기지 못할 것이란 부정적 전망이 나오고 있다.이미지 확대보기
내년으로 연기된 2021년 도쿄올림픽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어떤 유산도 남기지 못할 것이란 부정적 전망이 나오고 있다.

도쿄올림픽은 2021년 7월 23일에 개막된다. 아직 15개월이나 남은 만큼 실감이 전혀 나지 않는다. 신 국립경기장을 설계한 건축가 구마 겐고는 3월 하순 프랑스 출신 평론가 플로랑 다바디와의 인터뷰에서 “포스트 코로나 중 하나의 상징으로서 (경기장이) 지속 가능한 현대 사회를 시사하는 건물이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올림픽의 ‘레거시(유산)’라는 말이 자주 화제가 되어 왔다. 무엇을 위한 올림픽인가. 무엇을 가져올 대회인가. 1964년 도쿄올림픽처럼 올림픽이 거리 형태를 바꾸고 도시계획에 박차를 가하는 시대는 끝났다. 그 모델을 바탕으로 한 마지막 올림픽은 아마 1992년 바르셀로나다. 이후로는 줄곧 대기업이나 정부 등 극소수에게만 이익을 가져왔다.

경제효과가 없어도 ‘나라 전체에 자신이 붙으니까 좋다’라고 하는 이야기도 있지만, 이것도 미지의 부분이 많다. 그렇게 개최된 아테네와 리우데자네이루의 대회는 실패였다. 정체된 나라가 올림픽으로 인해 국격이 상승할 희망은 거의 없다.

무형의 ‘레거시’로서 이데올로기를 침투시키는 역할은 올림픽에 있을까. 도쿄올림픽 준비단계부터 내걸었던 ‘다이버 시티’의 실현은 아직 이르다고 생각한다. 지난해 유행어 대상이 된 럭비 월드컵의 ‘원 팀’은 아름다운 개념이지만 1998년 월드컵에서 같은 이상을 내세웠던 프랑스는 곧 냉엄한 현실로 되돌아갔다.

한편 ‘친환경 도시’도 주창되고 있지만, 도쿄는 에코인 거리에 전혀 보이지 않는다. 최근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음예예찬(陰翳礼讃)’을 다시 읽었는데 그가 그 속에서 비판했던 근대 일본의 에너지 낭비는 현대 일본에서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일본은 미국과 프랑스에 버금가는 환경파괴의 3대 문제아다. 책에 나온 2013년 3.11 후에 자체 정전이나 절전을 했을 때의 기분, 앞으로 가급적 플라스틱을 쓰지 않겠다는 결의는 도대체 어디로 간 것일까.

락 다운(도시 봉쇄)하지 않은 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위기가 지나 올림픽이 내년에 무사히 개최된다고 치자. ‘역시 일본은 훌륭한 나라다’라고 하는 선동적인 논조를 상상할 수 있다. 하지만 코로나19 대응에서도, 프랑스 검찰의 수사가 계속되는 올림픽 유치 비리 의혹에서도 투명성이 결여된 일본 정부나 대기업에 국민은 납득할 수 있을까. 일본의 정‧재계는 규율 있는 국민에게 구원받고 있는 것만으로, 민주주의가 기능하고 있다고는 도저히 생각되지 않는다.

무엇을 상징하는 대회가 될 것인가. 일본인의 아이덴티티라면 어떨까. 2021년 도쿄올림픽에서 세계에 호소하고 싶은 정체성은?

예전 같으면 일본은 세계 제일의 서비스를 자랑하며 테크놀로지의 나라로서 알려져 있었다. 의외로 알려지지 않은 것은 이 나라 상상력의 풍부함이다. 2년 전 파리에서 열린 문화행사 ‘자포니슴’(구미의 일본주의)에서는 고전에서 현대까지의 미술작품 전시와 패션, 건축 등을 통해 알릴 수 있었지만 2021년 7월 올림픽 개막식에서도 일본인의 창의력을 전 세계에 보여줘야 한다. 미야자키 하야오나 무라카미 타카시가 그 쇼를 감수하지 않는 것은 유감이지만, 종합 연출을 담당하는 노무라 만사이, 야마자키 타카시, 사사키 히로시 3인은 장대한 스펙터클을 생각해 주었으면 한다.

올림픽이 일본에 가져다줄 레거시는 다이버시티도, 경제의 기적도 아닐 것이다. 원점인 고대 그리스 올림픽이 그리스 문명에 가져온 것은 도시국가의 연대였다. 아테네와 지방도시, 식민도시가 서로 신뢰하는 계기였다. ‘포스트 코로나’ 올림픽이 정치가와 국민과의 본격적인 대화를 촉진시켜 일본의 민주주의가 진화한다면 훌륭한 레거시가 될 것이다.


김경수 글로벌이코노믹 편집위원 ggs07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