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이란 외무장관 "미국, 이란핵합의 복귀시한 무한하지 않다"

공유
0

이란 외무장관 "미국, 이란핵합의 복귀시한 무한하지 않다"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부 장관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부 장관
이란이 이란핵합의(포괄적공동행동계획·JCPOA) 복원을 전제로 미국과 관계를 재설정할 준비가 돼 있으니 미국이 서둘러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부 장관은 1일(현지시간) 미국 CNN방송 인터뷰에서 "미국이 이란핵합의에 복귀할 시간이 무한한 것은 아니다"며 조 바이든의 미국 새 행정부에 이 같은 메시지를 보냈다.
자리프 장관은 "바이든 대통령이 전임 트럼프 행정부의 실패한 정책으로 이점을 누리려는 것으로 비치는 걸 원하지는 않을 터이기에 미국으로서는 기회의 시간이 제한적"이라고 주장했다.

이란핵합의 존폐는 미국과 이란의 향후 관계를 결정할 최대 변수로 거론된다.

이란은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을 중단하는 대가로 경제제재를 해제받는 것을 골자로 한 이란핵합의를 2015년 미국을 비롯한 주요 6개국과 체결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17년 취임 후 이란핵합의에서 일방적으로 탈퇴한 뒤 원유수출 봉쇄를 비롯한 대이란제재를 복원하고 세계 각국에 동참을 압박했다.

이란은 합의에 따라 부과된 의무를 점진적으로 위반하는 방식으로 약속 이행을 촉구해왔다.

최근 이란은 포르도 핵시설에서 농축우라늄의 순도를 20%까지 높이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는 이란핵합의에서 규정된 3.67%보다 훨씬 높지만 핵탄두에 사용할 수 있는 90%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자리프 장관은 바이든 행정부와의 어떤 합의도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경제제재를 해제할지에 달렸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제재해제가 포함된 이란핵합의가 복원된다면 기존 의무를 즉시 준수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자리프 장관은 미국의 제재 철회 때 이란이 얼마나 빨리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을 되돌릴 수 있느냐는 물음에 "농축 우라늄 8천 파운드(약 3천630㎏)가 하루 내에 예전 분량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

바이든 행정부도 이란의 농축 우라늄을 우려 섞인 눈으로 지켜보고 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은 최근 NBC방송 인터뷰에서 이란이 이란핵합의 의무를 더 심한 수준으로 해제한다면 몇주만에 핵무기 하나를 만드는 데 충분한 핵물질을 축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인터뷰에서 자리프 장관은 이란이 핵무기 개발, 그 자체를 목표로 추진하는 게 아니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우리가 핵무기를 만들려고 했다면 예전에 만들었을 것"이라며 "핵무기는 우리 안보를 증강하지 않고 우리 신념에도 배치되기 때문에 우리는 핵무기를 추구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란핵합의를 둘러싼 주요 비판론 가운데 하나는 이란의 재래식 무기와 역내 세력확장 전략을 견제하지 못한다는 점이었다.

그간 이란은 탄도미사일 성능을 급격히 향상시켰고 역내 무장세력들을 후원한다는 의혹도 계속 제기되고 있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안보보좌관은 미국평화연구소에서 열린 행사에서 이란핵합의 복원이 바이든 행정부의 초기 주요과제이지만 이란이 예전보다 더 심각한 위협으로 변했다는 사실이 협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자리프 장관은 비판론자들의 의견을 논외로 규정하며 이란은 이란핵합의 그 자체를 철저히 준수하고 있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그는 "이란은 협력을 제한하기 위해 이란핵합의에 들어있는 메커니즘을 이용했다"며 "이란핵합의 36절(분쟁해소 메커니즘)을 보면 우리가 합의를 엄격히 준수하며 행동했다는 것을 알 것"이라고 말했다.

자리프 장관은 바이든 행정부가 이란핵합의를 수정하지 않고 원본 그대로 고수해야 한다며 미국부터 이란의 중동 내 경쟁국들에 무기를 판매하는 행위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그는 "미국은 우리 지역에 수천억 달러 규모 무기를 판매하는 행위를 감축할 준비가 돼 있느냐"며 "미국은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미국 무기를 사용해 공습을 하는) 예멘에서 어린이 학살을 중단할 준비가 돼 있느냐"고 반문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