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2021수소모빌리티+쇼]정기선 현대重그룹 부사장 "오스트리아 기업과 수소연료전지 사업 MOU 체결"

글로벌이코노믹

[2021수소모빌리티+쇼]정기선 현대重그룹 부사장 "오스트리아 기업과 수소연료전지 사업 MOU 체결"

오는 2025년 수소연료전지 상용화 목표로 선박용 수소연료전지 개발에 협력
정기선 부사장 “그룹 계열사 인프라 서로 협력해 수소경제 활성화 최선 다할 것”
(앞줄 왼쪽부터) 정기선 현대중공업그룹 부사장, 이규호 코오롱그룹 부사장, 조현상 효성그룹 부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8일 열린 '수소모빌리티+쇼'에서 현대중공업그룹 부스를 관람하고 있다. 사진=현대중공업그룹이미지 확대보기
(앞줄 왼쪽부터) 정기선 현대중공업그룹 부사장, 이규호 코오롱그룹 부사장, 조현상 효성그룹 부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8일 열린 '수소모빌리티+쇼'에서 현대중공업그룹 부스를 관람하고 있다. 사진=현대중공업그룹
현대중공업그룹이 8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수소산업 전시회 ‘수소모빌리티+쇼’에서 오스트리아 파워트레인(엔진·모터·변속기 등 구동체계제어기술) 업체 AVL과 수소연료전지 관련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에 따라 현대중공업그룹에서 조선 부문 사업을 담당하는 현대중공업은 AVL과 오는 2025년을 목표로 선박용 수소연료전지 개발에 협력할 계획이다.

수소연료전지는 기존 내연기관보다 에너지 효율을 최대 60% 이상 높일 수 있는 수소추진선 핵심 기자재로 수소 가치사슬(밸류체인) 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전망이다.

현대중공업 엔진기계사업 부문이 독자개발하고 있는 수소·암모니아 혼용 엔진 이미지. 사진=남지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현대중공업 엔진기계사업 부문이 독자개발하고 있는 수소·암모니아 혼용 엔진 이미지. 사진=남지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현대중공업 엔진기계사업 부문은 수소·암모니아 혼용 엔진을 개발해왔는데 이 기술이 향후 독자적으로 개발돼 상업화가 될지 AVL과 함께 더 개발될 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MOU 외에 이번 행사에서 현대중공업그룹은 ‘수소 드림 2030’을 주제로 수소 생산부터 운송, 저장, 활용까지 수소 가치사슬(밸류체인)으로 구축되는 수소 사회 생태계를 선보여 그룹 계열사의 인프라와 비전을 밝혔다.

수소 사회 생태계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디오라마(축소 모형물)와 실제 개발 중인 수소운반선, 수소탱크, 수소연료전지 건설기계 등 모형이 등장해 행사 참가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현대중공업 플랜트부문은 2030년까지 풍력 에너지를 이용한 1.2GW급 수전해 플랜트를 가동하고 그린수소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일렉트릭은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패키지를 개발해 친환경 그린포트를 구축할 예정이다.

한국조선해양,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등 조선부문 계열사는 지난해 세계 최초로 상업용 액화수소운반선에 대한 선급 기본인증을 획득했다.

조선부문 계열사는 또 지난 3월 수소선박 국제표준 개발에도 나서는 등 수소의 안정적인 운송을 위한 수소운반선, 수소연료전지와 수소연료공급시스템을 적용한 수소연료전지추진선, 액화수소탱크 등을 개발 중이다.

현대글로벌서비스는 2022년 하반기까지 소형 선박용 수소연료전지시스템 패키지를 개발하는 등 기존 화석연료선박들을 수소연료선박으로 바꾸는 서비스를 준비 중이며 현대오일뱅크는 블루수소를 생산해 차량, 발전용 연료로 판매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오는 2030년까지 전국에 180여 개 수소충전소를 구축할 계획도 내놨다.

현대건설기계의 수소 굴착기 이미지. 사진=남지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이미지 확대보기
현대건설기계의 수소 굴착기 이미지. 사진=남지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현대건설기계는 수소연료전지 건설장비 테스트 모델을 개발하며 2023년 상용화를 목표로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번 행사에서는 14t 규모 수소 굴착기가 공개돼 관람객 눈길을 끌었다.

정기선 현대중공업그룹 부사장은 수소모빌리티+쇼와 같은 날 킨텍스에서 개최된 ‘H2 비즈니스 서밋(Korea H2 Business Summit)’ 행사에 참석해 “밸류체인 구축은 수소 생태계를 확장시킬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며 “그룹 계열사 인프라를 토대로 국내 기업들과 시너지를 발휘해 수소경제 활성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남지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ini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