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정동만 의원, 한전 국감 ‘송전탑 지역 갈등 문제’ 집중 질의

글로벌이코노믹

정동만 의원, 한전 국감 ‘송전탑 지역 갈등 문제’ 집중 질의

“서울은 90% 지중화… 기장은 철탑 숲? 지중화 지방 홀대!”
부산 기장 주민 희생 강요해선 안 돼... 지중화 조속히 추진해야”
한전국감에서 질의 중인 정동만 의원. 사진=정동만 의원실이미지 확대보기
한전국감에서 질의 중인 정동만 의원. 사진=정동만 의원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정동만 국회의원(국민의힘, 부산 기장군)은 20일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강원랜드에서 열린 한국전력공사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부산 기장군 달음산과 일광산 일대를 잇는 10km 송전탑 건설사업은 심각한 주민 갈등을 야기하고 있어, 한전은 즉각 지중화 등 대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 의원에 따르면, 한전이 2016년 예측한 명례변전소의 2023년 부하량은 216MW였으나, 실제 2024년 해당 지역(명례+장안) 실적은 71MW로, 예측치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며, 기장군 전체 부하 또한 예측치(511MW)의 절반 이하인 229MW로 나타났다. 또한 정 의원은 한전이 사업의 또 다른 근거로 내세운 ‘단일계통 해소 및 정전 위험 예방’ 논리에도 의문을 제기했다.

정 의원은 “최근 10년간 해당 지역 선로 고장은 단 2건뿐이며, 한전이 지목한 ‘구서–노포 구간’에서도 정전은 단 한 번도 발생하지 않았다”면서 “실제 정전 가능성이 이렇게 낮은데, 대규모 송전탑 설치로 주민 갈등만 부추기는 건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기장군에만 부산 전체 송전탑 706개 중 40%에 달하는 287개가 이미 설치되어 있음을 지적하며 “서울은 지중화율이 90%, 인천은 75%인데, 원전 지역 주민에게 우대는커녕 추가로 10km 송전탑을 세우는 것이 납득이 되는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끝으로 “이미 ‘철탑 숲’ 속에서 살아온 주민들에게 더 이상의 부담을 주어선 안 된다”라며 “기장은 이제 원전뿐 아니라 관광산업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는만큼 경관 훼손을 최소화하는 지중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라고 밝혔다.


강세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emin382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