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AI 깐부동맹 속도전] SK가 물량보다 효율 택한 이유…엔비디아 제1협력사 지키기 위한 ‘질적 경쟁’

글로벌이코노믹

[AI 깐부동맹 속도전] SK가 물량보다 효율 택한 이유…엔비디아 제1협력사 지키기 위한 ‘질적 경쟁’

삼성전자 캐파 확대 맞서 생산효율 극대화로 1위 수성 전략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전시장에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메모리 HBM3E가 전시돼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전시장에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메모리 HBM3E가 전시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SK그룹이 ‘양보다 질’을 택했다. 인공지능(AI) 산업의 급성장 속에서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지만, SK하이닉스는 생산량 확대보다 효율 극대화 전략을 앞세우고 있다. 엔비디아의 제1 협력사 지위를 지키기 위한 ‘질적 경쟁’에 방점을 찍은 셈이다.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은 3일 ‘SK AI 서밋 2025’ 키노트에서 ‘1’이라는 숫자를 강조했다. 그는 “SK하이닉스가 글로벌 메모리 분야 1위이자 일하고 싶은 1위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며 자부심을 드러냈다. 표면적으로는 조직문화와 기술력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친 발언이지만, 업계에선 이를 엔비디아와의 협력관계를 상징하는 메시지로 해석한다.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의 고대역폭메모리(HBM) 제1 벤더로 자리 잡은 이후 그 ‘1’의 자리를 놓치지 않겠다는 의미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역시 같은 맥락의 발언을 내놨다. 그는 “AI의 문제를 풀 수 있는 건 AI뿐”이라면서 “SK는 반도체와 전력, 에너지 솔루션을 아우르는 AI 인프라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그룹 차원에서 AI 기술을 전 공정에 도입해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하겠다는 청사진이다. 이는 단순한 비전 선언이 아니라 경쟁사인 삼성전자가 캐파(생산능력) 확장 전략을 앞세운 상황에서 ‘효율’로 맞서겠다는 선언으로 읽힌다.

실제 시장 상황은 SK하이닉스의 선택을 뒷받침한다. 현재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은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HBM 대란’ 상황이다. 생산라인을 늘린다고 해도 장비 확보, 기술 검증, 인력 문제로 단기간 내 대응이 어렵다. SK하이닉스는 제한된 생산능력 안에서 불량률을 최소화하고, 공정 자동화와 AI 분석을 통해 수율을 높이는 전략을 택했다. 물량보다 효율이 수익성을 결정짓는 구간에 진입했다는 판단이다.
업계 관계자는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의 차세대 HBM4 공급을 위한 기술 검증 단계에서 가장 높은 신뢰를 얻고 있다”면서 “삼성이 물량 공세를 펼치더라도 SK하이닉스가 안정적인 품질과 효율로 승부수를 던진다면 1위 벤더 지위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SK그룹이 ‘AI 인프라 기업’으로 변신을 선언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SK하이닉스는 단순 메모리 공급업체가 아니라 엔비디아의 AI 반도체 생태계 전반을 지원하는 ‘솔루션 파트너’로 변모 중이다. 최 회장이 강조한 “AI로 AI의 문제를 푼다”는 구호는 생산 효율뿐 아니라 공급망, 전력관리, 데이터센터 운영까지 아우르는 구조 혁신을 예고한다.

결국 SK하이닉스가 택한 길은 ‘효율의 1위’다. 단순히 생산량을 늘리는 경쟁이 아니라 한정된 라인에서 최고의 성능과 품질을 뽑아내는 싸움이다. 엔비디아와의 협력 구도가 지속되는 한, SK하이닉스는 물량이 아닌 효율로 시장 주도권을 굳히려는 전략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