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차기 신한은행장은 누구?…'진옥동 닮은꼴' vs '정권과 소통' 놓고 고민

글로벌이코노믹

차기 신한은행장은 누구?…'진옥동 닮은꼴' vs '정권과 소통' 놓고 고민

신한금융, 오는 20일 자경위 열고 계열사 10곳 CEO추천
'포스트 진옥동' 두고 설왕설래…전필환·정운진 등 거론
사진=글로벌이코노믹 DB이미지 확대보기
사진=글로벌이코노믹 DB
진옥동 신한은행장이 그룹 회장으로 영전하면서 차기 신한은행장에 금융권의 눈길이 쏠린다.

특히 조용병 현 신한금융그룹 회장의 임기가 아직 끝나지 않았지만 세대교체를 위해 용퇴를 선택한 만큼 진 행장의 의중이 상당 부분 반영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지주는 20일 자회사경영관리위원회(자경위)를 열어 신한은행을 비롯해 신한카드 신한투자증권 신한라이프 신한캐피탈 신한자산운용 신한자산신탁 신한저축은행 신한벤처투자 신한AI 등 10개 자회사의 최고경영자(CEO)를 선임한다.

특히 신한금융의 핵심 자회사인 신한은행장에 관심이 집중된다. 진옥동 신한은행장이 차기 그룹 회장으로 내정되면서 후임자 인선이 불가피하고 그간 전례를 봤을 때 신한은행장이 회장 자리에 올라 그룹 전체를 이끌게 될 가능성이 크기 떄문이다.
당초 진 행장과 '닮은꼴'인 전필환 부행장(디지털전략그룹장)이 차기 행장으로 유력하지 않겠느냐는 설이 그동안 지배적이었다. 진 행장의 신임도 두터운 데다 신한금융 대주주인 재일교포 주주들과의 관계도 원만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1965년생인 전 부행장은 목포 덕인고와 성균관대 행정학과를 나왔다. 진 행장과 마찬가지로 오사카 지점장과 SBJ은행(신한은행 일본 현지법인) 부사장을 지냈다. 2021년에 신한은행 부행장으로 승진한 후 디지털개인부문장을 맡아 신한은행의 디지털 금융 전략을 총괄하고 배달앱 '땡겨요'를 시장에 안착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진 행장과의 닮은꼴 이력이 오히려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전북 임실 출신인 진 행장에 이어 목포 출신인 전 부행장이 신한은행장에 오르면 신한금융 요직을 호남 출신들이 독식한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 부행장과 더불어 진 행장의 핵심 측근으로 분류되는 정상혁 부행장(경영기획그룹장)을 기용할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거론된다.

차기 회장에 오를 진 행장과의 호흡보다는 정권과의 소통을 중요하게 판단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최근 차기 농협금융 회장에 이석준 전 국무조정실장이 내정된 데에는 농협중앙회가 정권과의 소통을 최우선에 둔 선임이라는 분석이 나오기 때문이다.

이를 감안할 때 대구 출신으로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정운진 신한캐피탈 사장도 하마평에 오른다.

그는 신한은행 경영기획그룹장과 신한지주 GIB(글로벌&그룹 투자은행) 사업부문장을 역임한 자본시장 전문가로 2020년 신한캐피탈 수장으로 취임 후 최대 실적을 이끄는 등 뛰어난 경영 능력을 인정받은 것 등이 장점으로 평가된다.

특히 윤석열 정부 들어 새로 임명된 금융당국 수장들이 서울대 경제학과 출신이 많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 정권과 호흡이 원활할 것으로 기대된다.

윤석열 정부에서 임명된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 이명순 금감원 수석부원장,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 윤희성 수출입은행장 등 모두 서울대 경제학과를 나왔다. 문재인 정부에서 취임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와 김광수 은행연합회장도 같은 학부 출신이다.

심지어 그는 윤석열 정부에서 서울대 경제학과 출신이 아닌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고려대 경영학)는 고등학교 동문이다.

역시 서울대 경제학과를 나온 박성현 부행장(기관그룹장)도 윤석열정부와 소통이 원활할 것으로 평가 받는다. 부산 출신인 그도 친정부 인사와 두루 인연을 맺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그룹 내 손꼽히는 전략통으로, 지주 전략기획 및 은행 영업 등 요직을 두루 거친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특히 2018년 신한은행의 서울시금고 은행 선정 주역이었고, 재선정 입찰을 앞둔 올 초 기관영업그룹장으로 복귀해 서울시 1·2금고 은행을 사수했다.

자회사 CEO를 선정하는 자경위는 신한금융 이사회 내 소위원회로 조용병 현 회장이 위원장을 맡고 있고 박안순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중앙본부 의장(일본 대성상사 회장), 성재호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이윤재 전 코레이 대표, 허용학 퍼스트브릿지 스트래티지 CEO 등 사외이사 4명 총 5명으로 이뤄졌다.

진 행장은 자경위 멤버는 아니지만 이번 자회사 수장 인사는 진 행장의 의중이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용퇴를 선언한 조 회장이 진 행장과 최대한 소통할 뜻을 밝혔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 8일 용퇴 의사를 밝힌 조 회장은 계열사 인사에 대해 "제가 권한을 갖고 있더라도 인사는 내정자가 해야 한다"며 "진옥동 내정자와 충분히 상의해 조직이 탄탄하게 갈 수 있도록 인사와 조직 개편을 할 예정이다. 신한 문화의 관점에서 할 것"이라고 발언한 바 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