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벤처칼럼] 대한민국에 미래가 있는가

공유
1

[벤처칼럼] 대한민국에 미래가 있는가

문형남 숙명여대 정책산업대학원 IT융합비즈니스전공 주임교수
문형남 숙명여대 정책산업대학원 IT융합비즈니스전공 주임교수
“대한민국은 미래가 없다.” 필자가 이런 주장을 할 수 있는 근거는 우리나라의 미래에 대한 국민들이 공감하는 제대로 된 ‘미래예측’과 ‘미래전략’이 없기 때문이다. 매년 연말이 되면 국가와 각 기업 및 기관들 그리고 개인들도 새해 계획을 세운다. 우리나라에는 여러 정책에 대해 단기 계획만 있고, 중장기 계획과 비전은 찾아보기가 어렵다. 지속가능한 비전과 잘 수립된 중장기 계획이 있는 국가와 기업 및 개인은 경쟁력을 갖고 조직과 인류 발전에 기여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할 것이며, 밝은 미래가 있다. 그러나 ‘미래예측’과 ‘미래전략’이 없는 국가와 기업 및 개인은 미래가 없다고 해도 과한 표현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미래를 연구하는 미래학(Futurology, Future Studies)의 두 가지 중요한 축은 ‘미래예측’(Future Forecast)과 ‘미래전략’(Future Strategy)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미래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미래를 연구하는 미래학자도 많지 않으며 미래 관련 학회도 매우 적다. 미래를 제대로 교육하는 교육기관도 없다고 해도 지나친 표현이 아니다. 해외 위주의 미래 예측서는 다수 발간되고 있으나 국내의 미래 예측서는 대부분 1년 후 트렌드를 예측해보는 단기 예측서가 주를 이루고 있다. 간혹 중장기를 예측하는 책이 나오기는 하지만 체계적이지 않고 앞뒤가 맞지 않거나 공감하기 어려운 내용이 많다.
영국은 총리 직속 ‘미래전략단’이 정기적으로 세계화, 경제번영, 인구확대, 사회안전 등 이슈별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핀란드 정부는 4년 단위로 ‘15년 후의 미래상’을 의회에 제출하고 있다. 이렇게 미래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나라들은 “미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국제기구들도 미래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014년 8월에 ‘50년 후 세계경제 변화방향과 정책적 도전’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경제의 미래에 영향을 미칠 5대 요인’을 선정해서 발표하기도 했다. 우리나라에도 미래를 기획한다는 부처가 있고 청와대에 관련 수석이 있고 관련 위원회도 몇 개가 있는데 유명무실하다. 나름대로 뭔가를 하고 있을 수도 있지만 국민들이 알지 못하면 하고 있지 않는 것이며 없는 거나 마찬가지다.

정부가 하지 않는다면 미래학자들과 관련 학회들이 앞장서서 미래학을 연구하고 교육하여야 한다. 학생들이 제대로 예측된 미래를 공부하고 나름대로 미래를 예측하고 미래를 대비하는 중장기 계획을 설계하는 훈련을 해야 한다. 세계미래포럼과 국제미래학회 등이 꾸준하게 노력해서 성과를 내고 있다. 우리나라의 장기 미래예측이 없는 가운데 최근 2035년 한국을 예측하는 ‘대한민국 미래보고서’가 발간된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한 대학원에서는 2016년 3월에 ‘미래예측과 미래전략’을 정규 과목으로 개설하기로 했다. 또 다른 대학에서는 2017년 3월에 미래학전공 석·박사과정을 신설하기 위해 준비중이라고 한다.

“미래는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하는 것이다”라는 말이 있으며, “미래는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상상하는 것이다”라는 말도 있다. 미래는 거스를 수 없는 큰 물결이 있지만 의지를 갖고 상상하고 창조할 수 있는 부분도 적지 않다. 미래를 예측하고 그 결과로 지속가능하고 바람직한 미래상이 도출되면 정부와 국회 및 국민이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여 멋진 미래를 함께 만들어 가는 ‘미래전략’이 ‘미래예측’ 이상으로 중요하다. 1년 후인 2016년 말까지는 국가 차원에서 국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2030년 대한민국 예측과 전략’, ‘2050년 대한민국 예측과 전략’ 등의 대한민국의 미래를 제대로 예측하고 그에 따른 비전과 실천 전략을 제시하는 보고서들이 발간될 것을 기대한다. 그렇게 되면 그때 가서 “대한민국은 미래가 있다”라는 제목의 칼럼을 쓸 수 있게 되기를 미래학자의 한 사람으로서 간절히 바란다.
문형남 숙명여대 정책산업대학원 IT융합비즈니스전공 주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