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빙 쇼츠탭 통한 주문액 174% 증가
모바일 앱 유입 월평균 197%나 늘어
자체 콘텐츠 가공해 ‘외부’ 채널 확장
티빙 외에 틱톡·유튜브·인스타그램 등
틱톡→자사 앱 유입 전년 比 3602%↑
모바일 앱 유입 월평균 197%나 늘어
자체 콘텐츠 가공해 ‘외부’ 채널 확장
티빙 외에 틱톡·유튜브·인스타그램 등
틱톡→자사 앱 유입 전년 比 3602%↑

CJ온스타일은 틱톡·유튜브·인스타그램 등 외부 채널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티빙 애플리케이션 하단의 쇼츠탭을 통한 주문액은 CJ온스타일이 서비스 시범 운영을 시작한 4월부터 최근 7월까지 월평균 174% 증가했다. 같은 기간 티빙 쇼츠탭을 통한 CJ온스타일 모바일 앱 유입도 월평균 197% 급증했다.
CJ온스타일과 티빙은 올해 4월 ‘쇼핑 쇼츠’ 파일럿 테스트를 거쳐 지난달부터 본격 운영에 나섰다. 콘텐츠, 커머스, 상품 기획 역량을 모두 갖춘 CJ온스타일의 플랫폼 경쟁력과 국내 1위 OTT 티빙의 대중성을 결합해, 잠재력이 큰 숏폼 커머스 시장 공략에 나선 것이다.
이는 영상 콘텐츠를 보다가 자연스럽게 상품 구매로 이어진 대표 사례다. 쇼츠 영상 내 ‘상품 더 보기’ 버튼으로 고객이 곧바로 CJ온스타일 모바일 앱으로 이동해 구매할 수 있도록 한 점이 성장을 견인했다.
‘오덴세 KBO 피규어 텀블러’는 10개 구단 마스코트와 팀 컬러 디자인이 인기 요인으로, 현재 전량 완판된 상태다. KBO 팬덤 열풍에 힘입어 이달 추가 제작에 돌입, 올 가을 야구 시즌에 대응할 예정이다.

CJ온스타일 관계자는 “몰입도가 높은 숏폼에 커머스 기능을 더하자 유의미한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콘텐츠 소비 호흡이 짧아지는 흐름이 쇼핑 영역으로도 확대되고 있는 만큼, 더 많은 고객이 CJ온스타일 숏폼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도록 외부 채널로 지속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CJ온스타일은 이러한 외부 채널 확장 전략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올해 상반기 유인나·박세리·오스틴강 등 대형 셀럽 IP(지식재산권)의 예능형 콘텐츠 라이브 방송 하이라이트를 숏폼으로 재가공해 외부 플랫폼으로 확산했고, 그 결과 2025년 상반기 기준 틱톡에서 숏폼 등 콘텐츠를 보고 CJ온스타일 모바일 앱으로 유입된 방문자 수는 전년 대비 무려 3602%나 급증했다. 유튜브를 통한 유입은 277%, 인스타그램은 62% 증가하며 강력한 시너지를 입증했다.
CJ온스타일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 숏폼을 통한 주문액이 지난해 동기 대비 372% 증가했다”며, “이는 실질적인 구매로 이어졌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 6월 메타(META)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이후, 인스타그램 릴스(Reels)와 연계해 셀럽 기반 숏폼 콘텐츠를 메타와 공동 제작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모바일 앱 유입과 대규모 잠재 고객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CJ온스타일은 메타의 ‘협력광고’를 도입할 예정이다.
문용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yk_115@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