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K 택소노미는 정확한 명칭이 아니다. K 소셜 택소노미 등이 있기 때문에, ‘K 그린 택소노미’라고 해야 한다. 그린 택소노미는 그린워싱을 가려내고 진정한 녹색경제활동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이다. 그린 택소노미는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녹색 금융에 유효하게 활용될 수 있다.
현재 K 그린 택소노미 가이드라인에는 원전 분야가 빠져있다. EU 택소노미 가이드라인에도 원자력발전을 포함한 원자력 관련 기술이 포함되지 않았었다. 2022년 2월 2일에 발표된 그린 택소노미 최종안에는 원전을 조건부로 포함시키는 것에 대해 회원국 간에 조율 중에 있다. 신규 원전의 경우, 2045년 전에 건축 허가를 받아야 하고, 2050년까지 방사성 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세부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조건부이다. 차기 정부의 과제이겠지만, K 그린 택소노미 최종안 작성 시에 원전의 조건부 수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예로, 울창한 생태 숲을 파괴하고 주 52노동시간을 위배하여 태양광단지를 만들었다고 가정하자. 이 경제활동은 녹색경제활동일까? 답은 ‘아니다’이다. 환경목표 ①‘온실가스 감축’을 만족시켰지만, 3대 원칙 ②‘생물다양성 보전’과 ③‘노동 관련법 준수’를 지키지 못함으로써 녹색경제활동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최근 전국적으로 벌어진 자연 산림을 훼손하고 만들어진 대단위 태양광 단지는 탄소중립에는 기여할 수 있겠지만, 녹색경제활동이 될 수 없다. 지속가능하지 않다.
그린 택소노미는 지속가능발전 시대의 관문이라 할 수 있는 ESG와 밀접하다. 그린 택소노미의 6대 분야 환경 목표는 ESG에서 환경(Environment)에서 다루는 지표들이며, 3대 원칙에서 ‘최소한의 보호 장치(Safeguards)’는 ESG에서 사회(Social)에 해당한다. ESG에서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거버넌스(Governance)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지속가능발전을 지향하는 것과 같이, 그린 택소노미도 지속가능발전을 목적으로 하는 통합적 시스템이다. 그린 택소노미는 지속가능발전 시대의 문고리이다.
이영한 지속가능과학회장(서울과학기술대 건축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