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이 되면 65세 이상 인구가 1000만 명을 돌파해 초고령사회(고령인구 20% 이상)에 진입할 예정이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자의 기대수명(2018년 기준)은 평균 20.8년으로 남자는 85세, 여자는 88세이다. 앞으로 80대·90대 인구 비율이 급상승할 것이다. 그 대비책은 적정한 일거리 기회 제공이나 사회적 공동체 유지, 의료적 처방 그리고 환경 조성 등이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환경 조성을 중심으로 보기로 한다.
그러나 BF인증 제도가 신축물(건축물·공원 등)을 대상으로 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 제도 적용 이전에 많은 부분이 조성된 우리들의 일상 환경은 여전히 장애인·노인·임신부 등에게는 장애 공간이다. ‘노인복지법’에 따라서 보건복지부는 3년 주기로 ‘노인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는데, 2020년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그 실태를 알 수 있다. 고령자에게 벤치가 없는 등 쉴 곳 없는 보행로(32.0%), 여유롭지 않은 횡단보도(34.1%), 외출 시 가장 불편한 곳이 보행로(22.6%) 등이 지적되고 있다. 노모는 보도를 걸으시다가 벤치가 없어서 가게 앞 계단에 쭈그려 앉으신다. “횡단보도는 건너지 마세요”라고 말씀드리기도 한다. 고령자들은 실내나 실외에서 낙상을 가장 무서워하신다. “일반 화장실 벽에 손잡이라도 설치되어 있으면 좀 마음을 놓을 텐데”라며, 노모를 모시고 다니면서 항상 ‘손잡이 레일이 없음’을 아쉬워한다.
현재 도시계획은 ‘지역 생활권’을 기반으로 한다. 전통적인 도시계획에서는 그 안에 최소 단위로 ‘근린주구(Neighborhood Unit)’를 설정하고 있다. 이것은 초등생의 도보 통학이 가능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어린이 놀이터, 상점, 종교시설 등 주민 생활에 필요한 시설을 배치하는 소단위 주거구역 계획이다. 이미 농촌 지역은 아기 울음소리가 그친 지 오래다. 도시도 출산율이 급기야 0.8 이하로 떨어졌다. 물론, 초등학생 도보권은 중요하다. 그러나 고령자 도보 생활권도 생각해야 할 시점이 되어 가고 있다.
그동안 ‘인간은 직립’이라는 사고로 세상을 꾸며왔다. 이집트 스핑크스의 지혜와 같이 지팡이를 짚어야 하는 고령자들의 비중이 점점 더 급증하고 있다. 손잡이가 도처에 설치된 ‘고령친화 근린주구’로 탈바꿈하는 초고령사회가 되도록 지혜와 역량을 모아야 할 시점이다.
이영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명예교수, 무장애환경(Barrier Free)인증 심의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