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은 "DSR 1%p 상승 시 가구 소비 0.37% 감소"

공유
0

한은 "DSR 1%p 상승 시 가구 소비 0.37% 감소"

고부채-저소득·무주택자 가구 소비 제약 더 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1%포인트 상승할 경우 가구의 연간 소비가 0.37%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7일 서울 남산타워에서 바라본 아파트단지 모습.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1%포인트 상승할 경우 가구의 연간 소비가 0.37%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7일 서울 남산타워에서 바라본 아파트단지 모습. 사진=뉴시스
급격한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가계 이자부담이 커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1%포인트 상승할 경우 가구의 연간 소비가 0.37%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부채가 많고 소득이 적은 취약계층의 소비가 중·고소득 가구보다 더 크게 위축될 것으로 예상됐는데 금리 상승으로 소비가 본격 둔화될 경우 수출의 부진을 소비에 의존해온 한국 경제도 타격이 클 전망이다.
한국은행이 7일 발간한 '금리상승 시 소비감소의 이질적 효과' 보고서에 따르면 DSR이 1%포인트 상승할 때 가계 소비는 평균 0.37%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DSR이란 개인이 1년 동안 벌어들이는 총소득 대비 납부해야 할 원리금 비율이다. 예컨대 연소득이 5000만원인 사람이 갚아야 할 원금과 이자가 2000만원이면 DSR은 40%로 산정된다.

자료=한국은행
자료=한국은행

보고서는 가계부채 수준이 전체 가구 중 상위 50%인 가구를 고부채 가구로, 가계소득이 하위 30%인 가구를 저소득 가구로 분류했다. 고부채-저소득 가구의 소비 제약이 더욱 두드러졌다.

고부채-저소득 가구는 DSR이 1%포인트 상승할 때 소비가 0.47% 감소해 전체 가구의 소비 감소폭(-0.37%)을 대폭 웃돌았다.

고부채-중·고소득 가구는 DSR 1%포인트 상승 시 소비 감소폭이 0.46%로 고부채-저소득 가구와 차이가 크지 않았다. 하지만 저소득층의 높은 필수적 소비 비중을 감안하면 질적인 측면에서 소비 위축 충격이 고부채-저소득 가구에서 더 클 수밖에 없다.

부채가 많으면서 주택을 보유하지 않은 가구도 소비 위축의 충격이 상대적으로 컸다. 고부채-비(非)자가 가구는 DSR이 1%포인트 상승할 때 소비가 0.42% 감소해 평균보다 높았다. 다만 주택을 보유했어도 DSR이 20%를 넘는 가구는 DSR 1%포인트 상승시 소비가 0.4% 줄어 소비감소 효과가 컸다.

오태희 한은 조사국 동향분석팀 과장은 "가계의 금융 부담이 가중될 경우 취약계층의 소비는 필수적 소비를 중심으로, 중산층 이상은 재량적 소비를 중심으로 둔화될 수 있다"며 "이같은 가구별 차이를 감안해 정책 설계시 정책 효과가 제고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중·장기적으로 가계부채를 적절한 수준에서 관리하는 것은 금융 안정은 물론 소비 활성을 통한 경기 안정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