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금융사 회장 선임절차 글로벌 기준에 미달"…금융당국, 이사회 정조준

공유
0

"금융사 회장 선임절차 글로벌 기준에 미달"…금융당국, 이사회 정조준

이복현 금감원장이 6일 2023년 업무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이복현 금감원장이 6일 2023년 업무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금융감독원이 국내 금융회사의 회장 선임 절차 등이 국제 기준에 비추어 미흡한 측면이 있다며 이사회 운영 현황에 대한 실태점검을 추진한다. 지난 3일 우리금융지주 차기 회장에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이 낙점된 것 관련 이사회의 결정을 존중한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6일 발표한 '올해 주요 업무 추진방향'과 관련한 추가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금감원은 "지난주 우리금융지주 회장 후보 선임 관련, 이사회의 결정을 존중하며 새로운 회장 후보께서 더욱 건강한 지배구조와 내부통제 체계를 만들어나가길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다만, 우리나라 금융회사의 회장 선임 절차 등이 글로벌 기준에 비추어 미흡한 측면이 있는 만큼, 승계 절차의 공정성·투명성 제고 등 지배구조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근 우리금융지주를 비롯해 금융지주 등 소유구조가 분산된 기업의 최고경영자(CEO) 선임과 관련한 논란이 이어지자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금융위원회 업무보고 토론회에서 금융사 지배구조의 투명성 제고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그룹의 CEO 승계 절차는 기존 CEO 임기 만료 약 2년 전부터 시작되는 등 우리나라보다 더욱 체계적으로 이뤄진다. 예컨대 미국 씨티그룹은 중장기적으로 CEO 후보군을 형성해 그룹 차원에서 차기 CEO 인재를 육성한다.

이사회 내 상설기구인 지배구조위원회가 잠재적 CEO 후보군인 그룹 경영위원회(EC) 멤버의 승계관리와 선임을 담당한다.

복수 사업부문 경력을 보유하고, 그룹 경영위원회에 2년 이상 참여한 고위경영진을 대상으로 '상시관리 후보군'을 선정해 수년간 사업부문 경영을 맡기고, 이들 가운데 내외부 자질 평가를 거쳐 내부 후보 3명, 외부후보 2명으로 구성된 '숏리스트(최종 후보군)'를 정한다.

지난 2012년 10월∼2021년 2월 재임한 마이클 코뱃 전 미국 씨티그룹 CEO의 승계 사례를 보면, 코뱃은 2008년부터 EC에 참여하면서 '상시관리 후보군'에 포함돼 약 5년간 주요 사업 부문에서 경영 역량을 육성했다.

아울러 그는 숏리스트에 선정된 뒤에도 1년 10개월간 핵심시장인 유럽·중동·아프리카지역을 담당하며 CEO로서의 역량을 보완한 뒤 회장으로 선임됐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달 26일 "(우리금융지주)회장 후보자 숏리스트가 일주일 만에 결정되는 과정에서 평가에 필요한 적정한 시간이 확보됐는지 걱정이 있다"며 우리나라의 금융지주 회장 선임 절차 속도에 대한 우려를 제기한 바 있다.

금감원은 은행 등 금융회사 이사회와의 직접 소통을 강화하고, 이사회 운영 현황에 대한 실태점검을 추진한 뒤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금감원은 은행의 공공성에 대해서도 거듭 강조했다. 금감원은 "은행은 영리를 추구하면서도 국민경제 발전을 위해 자금 중개 기능을 성실히 수행해야 하는 등 공공성을 고려해야 함에도, 최근 영업시간 정상화 지연, 영업점 폐쇄 지속과 같이 서민·고령층의 금융 접근성을 제한하는 등 공공성을 간과하는 사례가 일부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이어 "은행 등 금융권이 시장안정과 취약차주 지원 등을 통해 사회공헌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면서 "금융지원의 기여도를 분석해 우수 지원 사례를 발굴하고, 확산되도록 유도하겠다"고 전했다.

은행의 배당 등 주주환원 정책에 대해서도 자율성이 있지만 충분한 손실흡수 능력과 자본 여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은행이 실물경제에 대한 자금 공급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감독하겠다고 밝혔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은 일반기업과 달리 실물경제에 대한 자금공급이라는 국민경제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며 "주주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균형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은행이 단순히 주주환원에만 집중하면 취약차주에 대한 자금공급·지원 여력이 약화돼 우리 경제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손규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bal4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