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시중에 풀린돈 4143조… 통화량 18개월째 증가

글로벌이코노믹

시중에 풀린돈 4143조… 통화량 18개월째 증가

지난해 11월 광의 통화량 전월比 32.3조원 증가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2024년 11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M2(광의통화, 평잔)는 전월대비 32조3000억원(0.8%) 늘어난 4143조원을 기록했다. 2023년 6월부터 18개월 연속 증가세로 증가폭은 10월(1.0%)보다 축소됐다. 전년동월 대비로는 6.4% 늘었다.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 5만원권 지폐가 쌓여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2024년 11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M2(광의통화, 평잔)는 전월대비 32조3000억원(0.8%) 늘어난 4143조원을 기록했다. 2023년 6월부터 18개월 연속 증가세로 증가폭은 10월(1.0%)보다 축소됐다. 전년동월 대비로는 6.4% 늘었다.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 5만원권 지폐가 쌓여 있다. 사진=뉴시스
자본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로 정기 예·적금 등 대기성 자금이 늘면서 지난해 11월 시중 통화량이 4143조원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2024년 11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M2(광의통화, 평잔)는 전월대비 32조3000억원(0.8%) 늘어난 4143조원을 기록했다. 2023년 6월부터 18개월 연속 증가세로 증가폭은 10월(1.0%)보다 축소됐다. 전년동월 대비로는 6.4% 늘었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 등을 협의통화(M1)을 비롯해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금융상품별로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이 전월(+4조원)에서 11조40000억원 더 늘었다. 자산 시장 변동성 확대 등에 따라 투자대기성자금이 늘어난 데 기인한다.
상품별로는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이 11조4000억원 불었다. 자산시장 변동성 확대 등에 따라 투자 대기성 자금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특히 일부 은행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파킹통장 상품을 확대하면서 투자 대기 자금이 대거 몰렸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2년 미만 금융채 역시 시장금리 하락으로 발행 여건이 개선되면서 5조5000억원 늘었고, 수익증권(+5조6000억원), 정기 예·적금(+5조2000억원)도 증가했다.

반면 시장형 상품(CD·RP, 표지어음)에서는 한 달 새 2조7000억원이 빠져나갔다. 단기 은행채를 통한 자금 조달이 늘어난 영향이다.

경제 주체별로는 가계·비영리단체(+10조6000억원)와 기업(+5조3000억원), 기타금융기관(+15조8000억원)에서 유동성이 늘었지만, 기타 부문(-7조5000억원)에서는 줄었다.

협의통화를 의미하는 M1은(평잔)은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 등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15조4000억원(1.2%) 늘어난 1248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2023년 11월 대비로는 4.1% 증가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