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6·27 약발 먹혔다…7월 가계대출 증가폭 '3분의 1토막'

글로벌이코노믹

6·27 약발 먹혔다…7월 가계대출 증가폭 '3분의 1토막'

全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 6.5조→2.2조…4조 넘게 줄어
'신용대출 풍선효과' 가능성에 선 그어 …"공모주 청약 등에 따른 일시적 현상"
13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2조2000억 원 늘어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사진은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13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2조2000억 원 늘어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사진은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시스
정부의 고강도 대출규제 영향으로 7월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증가폭이 전월의 3분의 1 수준으로 축소됐다.

13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2조2000억 원 늘어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6월(+6조5000억 원) 대비 4조3000억 원가량 줄어든 수치로, 3월(+7000억 원) 이후 최저치다.

세부적으로 6월 6조1000억 원 증가했던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7월 4조1000억 원 늘어 증가폭이 크게 줄었다. 기타대출은 6월 3000억 원 증가에서 7월 1조9000억 원 감소로 돌아섰다. 이는 최근 증가세를 유지하던 신용대출이 1조1000억 원 줄며 감소세로 전환된 영향이 컸다.
업권별로 보면 7월 중 은행권 가계대출은 2조8000억 원 증가해 6월(+6조2000억 원) 대비 증가폭이 대폭 축소됐다. 은행 자체 주담대 증가폭이 2조2000억 원으로 전월(3조8000억 원) 대비 축소됐고, 정책성 대출의 증가폭 역시 6월 1조3000억 원에서 7월 1조2000억 원으로 소폭 줄었다.

2금융권 가계대출은 6월 3000억 원 증가에서 7월 6000억 원 감소로 전환했다. 상호금융권 증가폭이 1조2000억 원에서 3000억 원으로 크게 줄었고 저축은행과 보험의 경우 각각 3000억 원, 4000억 원 줄면서 감소폭이 확대된 영향이다. 여신전문금융회사의 가계대출도 6월 6000억 원 감소에서 7월 2000억 원 줄면서 감소폭은 축소됐지만 감소세는 이어졌다.

항목별 가계대출 증감 추이. 자료=금융위원회이미지 확대보기
항목별 가계대출 증감 추이. 자료=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는 이날 기획재정부·국토교통부·한국은행·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과 은행연합회,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농협·수협·신협·새마을금고중앙회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었다.

금융당국은 7월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는 6·27 규제와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효과 때문인 것으로 평가하면서도 이미 이뤄진 주택거래와 대출 승인액 등을 감안할 때 당분간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 관계자는 "구입 목적 주담대의 경우 최근 몇 달간 주택 거래가 늘어난 영향으로 높은 증가세가 이어졌다"면서 "하지만 6·27 규제 이후 가계대출 관리가 강화되면서 규제 시차가 짧은 생활자금 용도 주담대나 신용대출 등이 크게 줄면서 증가폭 감소세를 주도했다"고 설명했다.

6·27 대책으로 전셋값이 오르고 있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최근 전세가격 흐름은 변화가 크지 않은 상황으로 이번 대책 시행에 따른 전세시장의 불안 요인은 크지 않다는 게 금융당국의 설명이다.

최근 주담대를 틀어막자 신용대출로 수요가 옮겨가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에도 "일시적 현상"이라고 반박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103조9687억 원에서 지난 7일 기준 105조380억 원으로 1조693억 원 급증했다. 7월 한 달간 4334억 원 줄었던 것과 대조적이다.

이를 두고 시장에서는 6·27 대출규제 이후 느려졌던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이달 들어 다시 빨라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8월은 통상 이사 수요, 휴가철 자금 수요 등 계절적 요인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되는 시기"라면서 "최근 신용대출 증가세는 공모주 청약 등에 따른 일시적 현상으로 증거금 등이 환급되며 이달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현재까지 안정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업권별 가계대출 증감 추이. 자료=금융위원회이미지 확대보기
업권별 가계대출 증감 추이. 자료=금융위원회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