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최고가 대비 연중 신고가, 4대 금융 평균 7% 빠져
상반기 '상승 랠리'와 대조…"향후 정부 정책이 관건"
상반기 '상승 랠리'와 대조…"향후 정부 정책이 관건"

정부 정책에 따라 생산적 금융, 배드뱅크 출연, 교육세 확대, 석유화학산업 지원 등에 휘둘리면서 주가도 요동쳤다.
대통령실이 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을 현행 50억 원으로 유지할 것으로 관측되면서 10일 금융지주 주가는 반짝 반등하기도 했지만 여전히 불안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의 각 사 올해 최고가 대비 이날 기준 최고가는 평균 6.8%(단순 계산) 가까이 빠졌다. 구체적으로 KB금융 –6.8%, 신한지주 –7.1%, 하나금융 –8.7%, 우리금융 –4.4% 등이다.
특히 이날은 대통령실이 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을 현행 50억 원으로 유지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투자심리가 개선된 날이다. 이에 KB금융도 7% 넘게 반등했으나 52주 신고가에는 여전히 못 미치고 있다.
금융주는 역대급 실적과 밸류업 정책을 바탕으로 상반기 주요 투자처로 관심이 쏠렸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은행을 비롯한 금융업의 주가를 모은 ‘KRX300 금융지수’는 올 상반기에만 39% 상승해 동기간 코스피 상승률(28%)을 넘어선 바 있다.
다만 새 정부가 강력한 정책 드라이브를 걸며 금융주 상승세는 숨 고르기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지난 7월 말 대주주 기준을 50억 원에서 10억 원으로 낮춘다는 내용의 세제개편안을 발표했는데, 반(反)자본시장 성격의 정책에 코스피가 지금껏 박스권에 갇혀 있다. 이에 국내 주식 가격도 도약을 멈췄었다.
금융권도 새 정부가 추진하는 여러 규제에 직면해 있다. NH농협은행을 포함한 5대 시중은행이 대출금리 산정 시 법정 출연금을 반영하지 못하도록 하는 ‘은행법 개정안’을 여당이 추진하고 있으며, 주택담보대출 위험가중치 하한선을 25%로 상향하는 방향도 정부 차원에서 검토되고 있다.
정부가 은행권의 ‘이자 장사’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데 따라 상생금융을 위한 각종 청구서도 날아온 상황이다. 은행권은 정부가 추진하는 취약계층 부채 탕감을 위한 배드뱅크 설립, 첨단전략산업기금 조성 등에 대거 자금을 출연할 예정이다.
과징금 납부 가능성도 부담이다. 우선 4대 은행은 주담대 담보인정비율(LTV)을 ‘짬짜미’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어 대규모 과징금 납부를 염두에 두고 있다. 이들 은행의 위법성이 인정돼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가 확정되면, 담합으로 인정되는 기간에 발생한 매출액의 최대 20%까지를 과징금으로 내야 한다.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불완전판매에 대한 과징금도 예고된 상태다. 이는 5대 은행 모두에 적용되는 사안인데, 과징금 규모가 클수록 자본 건전성을 위협할 수 있어 은행권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향후 정부 정책이 금융주를 비롯한 ‘국장 디스카운트’의 핵심으로 작용할 것이라 내다봤다. 이경수 하나증권 애널리스트는 “(대주주 양도세 조건 유지에 더해) 배당소득세 최대세율 25%로의 하향까지 논의된다면 글로벌 대비 디스카운트 해소가 가능할 것”이라면서 “랠리의 핵심은 주주환원 증가와 배당소득세 분리과세 수혜로 인한 고배당주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