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6·27 규제 여파… 9월 은행 가계대출 증가폭 반토막

글로벌이코노믹

6·27 규제 여파… 9월 은행 가계대출 증가폭 반토막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폭 4.1조→2조
全금융권 증가폭도 4분의 1 토막
"10·15 대책 실효성 판단하기 아직 일러"
서울 중구 남산에서 성동구와 광진구 등 한강벨트 인근 아파트 대단지 모습이 보이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서울 중구 남산에서 성동구와 광진구 등 한강벨트 인근 아파트 대단지 모습이 보이고 있다. 사진=뉴시스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 폭이 전월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통상 주택거래가 대출 실행으로 이어지기까지 약 2~3개월의 시차가 있는데 6·27 대책 직후 7월 부동산 거래가 급감한 점이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 통계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6·27 대책 직후 거래량이 급감했지만 7월 중하순 들어 점차 늘어난 경향이 있어 향후 가계대출 증가 폭은 다시 확대될 수 있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9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170조2000억 원으로 한 달 새 2조 원 증가했다. 이는 8월(+4조1000억 원)보다 증가 폭이 절반 수준으로 축소된 수치다.

지난 6월 6조2000억 원에 이르던 가계대출 증가 폭은 6·27 대책 이후 7월 2조7000억 원으로 줄었다가 8월 다시 4조 원대로 반등한 바 있다.
대출 종류별로는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2조5000억 원 늘었고, 반대로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5000억 원 줄었다.

박민철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주담대의 경우 6·27 대책 영향이 이어진 데다 7∼8월 이사철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전세자금 수요가 적은 계절적 요인 등으로 증가 폭이 축소됐다"면서 "기타 대출은 신용대출 한도 축소 효과가 지속되고, 분기 말 부실채권 매·상각 영향까지 더해져 감소세로 전환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주택거래가 대출 실행으로 이어지기까지 약 3개월의 시차가 있기 때문에 7~9월 부동산 거래량 증가분이 향후 3개월간 주택구입 목적 주담대 수요를 자극할 수 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박 차장은 "'(10·15 3차 부동산 대책은) 최근 수도권 주택시장이 과열 조짐을 보이는 상황에서 반가운 소식이지만 아직 대책의 효과를 판단하기엔 이른 시점"이라면서 "9월에 늘어난 주택 거래량은 2∼3개월 시차를 두고 주택구입용 대출에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이날 발표한 '가계대출 동향'에서도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1조1000억 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증가 폭이 전월(+4조7000억 원)의 4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고, 지난 3월(+7000억 원) 이후 최소 기록이다.

업권별로는 은행권 가계대출이 늘고, 제2금융권은 줄었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2조 원 증가한 반면,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9000억 원 감소해 전월(+6000억 원) 대비 감소세로 전환됐다.

이에 금융위는 "6·27 대책 효과에 따른 주담대 증가 폭 축소와 기타대출 감소로 인해 9월 가계대출 증가세는 상당 수준 안정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