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소득 주는데 부동산 영끌…가계 여윳돈 42조 급감

글로벌이코노믹

소득 주는데 부동산 영끌…가계 여윳돈 42조 급감

가계 순자금운용액 1분기 92.9조→ 2분기 51.3조
명목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89.7%…2년 만에 상승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자금순환(잠정)' 통계에 따르면 가계(개인사업자 포함)와 비영리단체의 2분기 순자금운용액은 전분기(92조9000억 원)보다 41조6000억 원 감소한 51조3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날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자금순환(잠정)' 통계에 따르면 가계(개인사업자 포함)와 비영리단체의 2분기 순자금운용액은 전분기(92조9000억 원)보다 41조6000억 원 감소한 51조3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날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올해 2분기 가계 소득이 줄었지만 주택 구매가 늘면서 가계 여윳돈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자금순환(잠정)' 통계에 따르면 가계(개인사업자 포함)와 비영리단체의 2분기 순자금운용액은 전분기(92조9000억 원)보다 41조6000억 원 감소한 51조3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1분기 역대 최대를 기록한 뒤 3개월 새 40조 원 넘게 줄어든 것으로 지난해 2분기(-45조6000억 원)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순자금운용액은 각 경제주체의 해당 기간 자금운용액에서 자금조달액을 뺀 값이다.
자료=한국은행이미지 확대보기
자료=한국은행

보통 가계는 순자금운용액이 양(+·순운용)인 상태에서 여윳돈을 예금이나 투자 등을 통해 순자금운용액이 대체로 음(-·순조달)의 상태인 기업·정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가계와 비영리단체가 2분기 조달한 자금은 25조6000억 원으로, 1분기(8조2000억 원)의 3배 수준으로 늘었다.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이 나란히 늘면서 금융기관 차입이 1분기 9조2000억 원에서 2분기 29조 원으로 급증했기 때문이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분기 말 89.7%로, 1분기 말(89.4%)보다 0.3%포인트(P) 올랐다. 2023년 2분기 이후 2년 만에 상승 전환이다.

기업의 순자금조달 규모는 1분기 18조7000억 원에서 2분기에는 3조5000억 원으로 크게 축소됐다. 대내외 불확실성 심화 등 경제 여건 악화에 따른 투자 둔화 등으로 기업들의 자금조달 수요가 줄어든 영향이다.

정부의 순자금조달 규모는 1분기 40조2000억 원에서 2분기 2조7000억 원으로 급감했다. 정부 수입은 전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지만 지출이 크게 감소한 결과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한편 6월 말 기준 우리나라 비금융부문(가계·기업·정부)의 순금융자산은 4976조7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금융부채 대비 금융자산 배율은 1.63배로, 전분기(1.58배) 대비 커졌다. 비금융부문의 금융자산은 1경2928조7000억 원, 금융부채는 7952조1000억 원이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