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만난 김 의원은 ‘기회의 여신은 뒷머리가 없다’는 외국속담을 인용해 “꿈이 없는 사람은 기회가 와도 기회인지 모른다”며 “꿈을 위해 끊임없이 준비하고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현재 교문위 활동을 통해 교육의 중심에서 청소년들에게 끊임없이 애정공세를 펼쳐오고 있다. 상임위 활동과 국정감사에서 지적한 내용들만 보더라도 자라나는 다음세대에 대한 마음이 얼마나 큰지 짐작이 가능하다.
김 의원은 현행 교육에 대해 “정권이 바뀔 때마다 교육정책이 가장 먼저 수정되기 때문에 ‘백년지대계’가 아니라 ‘오년지소계’라는 말이 생겼다”고 꼬집으면서 “학생들이 학교에서 사실에 입각한 교육을 받고 공교육만으로도 공평한 교육기회를 보장받을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먹을 쥐어 보였다.
그의 지역구인 부산교육은 어떨까. 김 의원은 부산교육의 발전방향을 묻는 질문에 “인구증가를 위해서는 일자리 창출도 중요하지만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우리나라는 수도권 위주의 교육환경이 조성됐기 때문에 학부모들이 자신의 아이가 수도권에서 공부하지 않으면 불안해 한다는 지적이다.
그는 “학생들이 부산으로 유학을 올 수 있도록 교육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지역의 인재가 해당 지역에서 일을 하는 선순환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의원의 모토는 ‘교육은 학교에 맡기자’다. 현재 일어나고 있는 교육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키워드가 ‘공교육 정상화’라는 설명이다. 상임위와 국정감사 활동만 보더라도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간절함이 엿보인다.
그는 작년 국감에서 역사교과서 오류 수정 문제를 시작으로 △학교비정규직 문제 △공교육정상화 문제 등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과 대안을 내놓는 등 국감우수의원으로 뽑히기도 했다. 여·야의 민감한 사안들에 대해 정치논리에 휘말리지 않고 소신 있게 대안을 제시, 치밀한 국감준비와 열성적인 활동이 단연 돋보였다는 평가다.
이뿐만 아니라 김 의원은 △장학금 부당 수령 문제 △역사교과서 문제 △서울대 외국인 전형 한국 국적 합격생 문제 등을 들춰내 문제를 제기하는 한편 공교육 정상화와 고교무상교육 법안 발의 등의 굵직한 족적을 남기며 ‘교육계의 스타의원’으로 발돋움 했다.
대한민국 교육을 보는 김 의원의 눈은 더 먼 곳을 향하고 있다. 불공정행위 근절 등을 통해 교육계의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했지만 근본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는 “교육 그 자체가 정상화 되는 것이 우리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는 길”이라며 “고교무상교육, 학자금 대출 이자비용 절감, 돌봄교실 확대 등을 추진하는 한편 개선이 필요한 교육현장의 이슈들을 더욱 중점적으로 발굴해 학생들이 안심하고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싶다”고 소망했다.
다음은 김 의원과의 일문일답이다.
◇ 활동 중 가장 큰 성과는 무엇인가요?
사실에 입각한 교육환경 마련과 교육 불공정 행위 근절 등 교육기회 균등에 중점을 두고 상임위와 국정감사 활동을 해왔습니다. 구체적으로 균형 잡힌 역사관을 심어 주기 위해 8종의 교과서에 대한 수정을 요구하는 한편 대학성적 조작 근절, 서울대 외국인전형의 문제점, 대입 사설컨설팅의 문제점을 찾아 낸 것입니다. 또한 법안소위원장으로 1년 남짓 활동하며 25개의 국정과제 관련 법안 중 절반에 가까운 11개를 통과시킨 것도 큰 성과입니다.
◇ 작년 말 국감에서의 활약이 대단하셨는데
17, 18대 연속으로 불량상임위원회로 낙인이 찍혔던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가 작년 국감에서는 ‘불면상임위’로 변모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의견충돌이나 소란으로 인해 정회가 된 경우 낭비된 시간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회의를 진행하는 등 간사로서 최선의 노력을 다한 결과이고 상임위원들 모두가 한마음이 된 결실입니다.
◇ 역사교과서 논쟁이 여전합니다.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요?
모든 교육은 사실에 입각해야 합니다. 보수와 진보로 나뉜 이념대립이 아니라 중등교육까지는 아주 정확한 사실에 기인한 내용을 가르쳐 어느 한쪽에 기울지 않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야 동북아시아 국가나 세계를 상대할 때 경쟁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통일이 됐을 경우에 생길 수 있는 혼란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올해는 어떤 부분에 중점을 두실 예정이신가요?
공교육 정상화 부분의 과제가 아직 남아 있습니다. 불공정 행위라든지, 성적증명서 문제, 입학금 문제 등은 어느 정도 해결했지만 교육 그 자체가 정상화 되는 것이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길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고교무상교육, 학자금 대출 이자비용 절감, 돌봄교실 확대 등을 추진하고 개선이 필요한 교육현장의 이슈들을 더욱 중점적으로 발굴할 것입니다.
◇ 지역구인 부산의 교육발전을 위해 해야 할 일이 있다면?
우리나라는 수도권 위주의 교육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자기의 아이가 수도권에서 공부하지 않으면 학부모들이 불안해합니다. 그런 이유로 부산의 인구유출이 많아진 것도 사실입니다. 학생들이 부산으로 유학을 올 수 있도록 교육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물색 중입니다. 인구를 늘리기 위해서는 일자리 창출도 중요하지만 교육의 역할이 가장 큽니다. 인재가 나오고 그 인재가 지역에서 일을 하는 선순환이 만들어 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자유학기제에 대한 생각을 들려주시지요.
자유학기제는 천편일률적인 경쟁을 위한 교육이 아닌 개인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행복교육으로의 출발점이 될 것으로 봅니다. 직업체험 장소, 진로교육 전문가 및 인프라 부족에 대한 우려도 있지만 국회 상임위에서 철저한 검증을 통해 우려를 불식시키는 한편 2016년 전면시행 시 혼란이 없도록 장점을 강화하고 보완할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조언 한 말씀 해주세요.
에듀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