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업분석] LG, 비상장사 실적은 양호 vs 전자 실적이 관건… 올해 영업익 1조6442억원

공유
0

[기업분석] LG, 비상장사 실적은 양호 vs 전자 실적이 관건… 올해 영업익 1조6442억원

이미지 확대보기
LG는 지난해 4분기 실적이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했다.

주요 비상장사의 실적은 전년동기 대비 상당한 수준으로 개선됐지만 상장 자회사 LG전자의 MC(스마트폰) 사업부가 영업적자 등 부진한 실적을 보이며 지분법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미래에셋대우 정대로 연구원은 LG의 올해 연결기준 매출액이 11조7721억원(전년비 +9.8%), 영업이익 1조6442억원(전년비 +22.3%), 당기순이익 1조3619억원(전년비 +24.8%)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LG의 2016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조7254억원(전년비 +7.6%), 영업이익 1조3447억원(전년비 +18.2%), 당기순이익 1조913억원(전년비 +15.6%)으로 잠정 집계됐다.

정 연구원은 “비상장 자회사의 실적 개선세가 확인됐다”면서 “주가의 완연한 재평가 계기는 LG전자의 경쟁력 회복 및 실적 개선 여부에 달려 있다”고 판단했다.

지주회사인 LG 실적에서 LG전자를 중심으로 한 LG이노텍, LG디스플레이 등 전자 계열사의 매출 및 영업이익 비중이 약 5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정 연구원은 “LG의 NAV(순자산가치)에서 전자 비중의 축소에도 불구하고 연결 이익기여도에 기반해 전자부문과 상당히 연계되어 움직이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미지 확대보기

정 연구원은 LG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2조4868억원(전년동기비 +5.7%), 영업이익 3439억원(전년동기비 +4.5%), 당기순이익 2920억원(전년동기비 -0.1%)을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다.

LG의 지난해 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3조194억원(전년동기비 +7.5%), 영업이익 2697억원(전년동기비 +20.9%), 당기순이익 1740억원(전년동기비 +3.3%)으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해 4분기 지분법이익은 614억원으로 전년동기에 비해 17.5% 줄었다. LG전자의 지배주주순이익은 -3,227억원을 기록했다.

LG는 지주회사의 특성상 LG전자, LG화학, LG유플러스, LG생활건강 등 대부분 상장 자회사의 실적으로부터 지분법이익을 인식해 매출액으로 반영한다.

LG전자 내 MC 사업부의 영업적자(-4670억원) 폭이 3분기(-4364억원)에 이어 보다 증가하며 지분법이익이 감소했다.

주요 3개 비상장 자회사 영업이익은 1737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58.5% 증가하는 양호한 실적을 시현했다.

서브원은 매출액 1조6643억원, 영업이익 563억원을 기록했다. 마곡 사이언스파크, 파주 디스플레이 관련 건설·관리부문 사업기회 확보로 실적이 개선됐다.

LG CNS는 매출액 9943억원, 영업이익 1036억원을 보였다. 사업 및 자회사 구조조정이 완료되고 양호한 물건 위주 사업 진행으로 수익성 개선 효과가 달성됐다.

LG실트론은 매출액 2151억원, 영업이익 137억원을 기록했다. LG실트론은 지난달 23일 지분 51%에 대해 SK와 6200억원의 매매계약을 체결했고 올해 하반기 거래가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
김대성 경제연구소 부소장 kim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