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긴축 종료 기대 섣불렀나…추가 인상 가능성 급부상

공유
0

긴축 종료 기대 섣불렀나…추가 인상 가능성 급부상

금리 인하 기대감에 하향 곡선 그리던 시장금리 반등
이창용 "절대로 못 올릴 것이라 생각하면 안 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마치고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마치고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이 3회 연속 기준금리 동결 기조를 이어나가고 있지만, 하향 곡선을 그리던 시장금리가 다시 들썩이고 있다.

당초 시장은 올해 상반기 중 금리 인상 중단을, 하반기부터 금리 인하를 기대했지만 한은이 이런 기대감에 지속적으로 경고를 보내고 있기 때문이다. 또 주요국도 예상보다 둔화되지 않는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탓에 추가 긴축에 나서고 있어 섣부른 긴축 종료 기대감에 제동을 걸고 있다.
5일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이날 기준 국고채 3년물, 5년물, 10년물 금리는 각각 3.502%, 3.489%, 3.561%로 집계됐다.

국고채 3년물과 5년물은 지난 3월 13일부터 5월 25일까지 줄곧 한은 기준금리(3.50%)를 밑돌았다. 하지만 지난달 26일 기준금리를 넘어섰고 이후 소폭 하락해 기준금리 턱 밑에 머물고 있다.

10년물은 지난 3월 13일부터 기준금리를 계속 밑돌다가 지난달 24일(3.502%) 한은의 기준금리를 넘어섰다. 지난달 30일에는 3.651%까지 치솟았다가 현재 소폭 내린 상태다.

한은 기준금리는 7일물 환매조건부채권(RP) 등을 거래할 때 기준으로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초단기물 금리가 기준금리와 유사하고, 국고채 3·5·10년물 등 만기가 긴 채권일수록 금리가 기준금리보다 점점 높아져야 정상이다.

하지만 한은이 올해 1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린 뒤 2월부터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시장에서는 지난해부터 쉬지 않고 달려온 긴축 행진이 종료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확산됐다. 이런 기대감 탓에 국고채 금리가 가파르게 하락해 기준금리를 밑도는 현상이 두 달 간 나타난 셈이다.

하지만 이런 시장의 기대에 한은이 강력히 경고성 메시지를 보내면서 분위기가 급변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25일 통화정책방향 회의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최종금리 수준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위원 6명 모두 3.75%로 가져갈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보고 있다"며 "한은이 (금리를) 더 올리지 않으면서 겁만 준다는 소리를 들었는데 우리는 옵션을 열어 놨고, 물가와 데이터를 보고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호주도 홀드(동결)하겠다고 해서 안 올릴 줄 알았는데 5월 (금리를) 올렸다. 한국이 절대로 못 할 것으로 생각하지 말아 달라"며 "적어도 금통위원들이 상황을 보자고 한 것은 올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렇게 말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호주는 지난해 4월 이후 11개월 연속 금리를 동결했다가 지난달 금리를 다시 올렸다. 시장의 예상을 뒤엎은 깜짝 결정이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도 추가 긴축에 대해 여전히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달 2~3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참석자들은 향후 추가 긴축 정책이 어느 정도 이뤄지는 것이 적절한 지를 두고 "불확실성이 높다"고 거론했다.

특히 일부 참석자들은 인플레이션 2%대 복귀라는 연준 목표를 언급하면서 "이를 실현하는 과정이 용납할 수 없을 정도로 더딜 수 있다"며 "향후 회의에서도 여태까지의 정책을 공고화해야 한다"는 매파적 목소리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건재한 노동시장도 연준의 추가 긴축 장기화 가능성을 지지한다. 미 노동부가 2일(현지 시간) 발표한 5월 고용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비농업 일자리수는 33만9000개 증가했다. 고강도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일자리 증가폭이 확대된 것은 물론 시장 예상도 훨씬 뛰어넘었다.

노동시장이 건재하면 인플레이션을 잡기가 어려워지고, 6월에도 기준금리를 올리자는 매파의 목소리에 힘이 실리게 된다.

김찬희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예상보다 강한 미국 고용 지표는 분명히 긴축 장기화를 뒷받침하는 요인"이라며 "다만 고용시장의 수급 불균형 해소와 이에 따른 물가 둔화 경로 역시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