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KDI에 조속 확정 촉구… 수도권 서북부 핵심 철도망 ‘발목’ 우려

3일 시에 따르면 KDI가 2023년 8월부터 수행 중인 인천2호선 고양 연장사업 예타는 착수 2년째를 넘기고 있다. 고양시는 올해 1월 1차 점검회의를 마친 이후 사업성 검토가 사실상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음에도, 2차 점검회의와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분과위원회 심의가 지연되고 있는 점을 문제 삼고 있다. 시는 이 같은 지연이 타 노선과의 평가 순서에 영향을 미쳐 사업 추진의 정당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입장이다.
총연장 19.6km에 달하는 인천2호선 연장사업은 인천 독정역에서 김포시를 거쳐 고양시까지 연결되는 광역철도사업으로, 이 가운데 8.3km가 고양시 구간이다. 고양시는 이 노선을 통해 킨텍스, 장항지구, 중산지구, 일산테크노밸리, 고양영상밸리, K-컬처밸리 등 주요 전략사업과의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으며, 자족도시 기반 조성과 미래 산업 생태계 구축의 핵심 축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인천2호선 연장사업의 예타 결과가 다른 사업에 비해 지나치게 늦어질 경우, 서울지하철 5호선 연장이나 서부권광역급행철도 등 유사 사업 대비 수요·타당성 평가에서 밀릴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고양시는 인천·김포 등 인접 지자체와 연대하여 공동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해당 사업은 2021년 7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된 후, 2023년 7월 기획재정부 예타 대상사업으로 선정됐다. 고양시는 예타 통과 직후 기본계획 수립, 설계 등 후속 행정 절차를 신속히 추진할 계획이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인천2호선 고양 연장사업은 고양시가 자족형 미래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기반이며, 수도권 서북부 전체의 성장 축”이라며 “기재부, 국토부, 경기도는 물론 인천·김포 등과의 공조를 강화해 반드시 예타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전방위적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강영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v40387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