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군함도 유네스코 안건 채택 무산”…韓 표 대결서 패배

글로벌이코노믹

“군함도 유네스코 안건 채택 무산”…韓 표 대결서 패배

강제동원 역사적 설명 약속했지만, 이후 사실 축소·왜곡
외교부 “향후 협의 통해 지속적으로 책임 있는 조치 요구”
지난 1일 오전 일본 나가사키현 하시마(일명 '군함도') 인근 해상의 유람선에서 보이는 군함도.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1일 오전 일본 나가사키현 하시마(일명 '군함도') 인근 해상의 유람선에서 보이는 군함도.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일본의 ‘군함도’ 관련 약속 이행 여부를 유네스코에서 공식적으로 따지려 했지만,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해당 안건 채택이 무산됐다.

7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세계유산위원회 제47차 회의에서, 한국은 일본의 불충분한 후속 조치를 위원회가 점검해야 한다는 취지로 관련 안건을 상정했지만, 일본은 위원회가 아닌 양자 협의로 다뤄야 한다며 반대 입장을 제출했고, 표결 끝에 일본의 수정안이 채택됐다. 투표 결과는 찬성 7, 반대 3으로, 다수 위원국은 기권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 인해 군함도 문제를 유네스코 차원에서 다루기 위한 한국의 시도는 좌절됐으며, 향후 국제사회에서 이 사안을 다시 제기하기도 어려운 상황이 됐다.

군함도(하시마)는 일본이 2015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며 조선인 강제동원에 대해 역사적 설명을 약속했던 장소다. 그러나 이후 일본은 관련 사실을 축소·왜곡했고, 2020년 개관한 도쿄 정보센터에서도 조선인 강제노동에 대한 언급 없이 일본 산업화를 강조해 비판을 받았다.
그간 유네스코는 2015년부터 2023년까지 네 차례에 걸쳐 일본의 후속 조치를 점검했으나, 2023년에는 ‘정식 보고서’ 대신 ‘업데이트 보고서’만 요청되면서 안건 자동 상정이 어려워졌고, 이번에는 표 대결 끝에 정식 안건 채택 자체가 무산된 것이다.

외교부는 이에 대해 “일본의 약속 불이행을 위원회가 점검해야 한다는 우리의 제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점은 유감”이라며 “향후 양자 및 다자 협의를 통해 지속적으로 일본의 책임 있는 조치를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안을 두고 일본의 유네스코 내 영향력, 위원국들의 피로감, 그리고 한국의 외교력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일관계에도 부담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