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41만 톤, 액체일반화물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1%, 16.8% 증가 상승 견인

종전 6월 최고 실적은 지난 2019년 1701만 톤이었다.
울산항의 주요 화물인 액체화물은 전년 동월(1168만 톤) 대비 18.1% 증가한 1379만 톤을 기록했다.
이는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 우려에 따른 정유사의 석유제품 수출입의 일시적 증가 및 정제마진 개선의 영향인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울산항의 6월 컨테이너 화물은 석유제품 수출 부진 영향으로 전년(3만4172 TEU) 대비 11.7% 감소한 3만189 TEU를 기록했다.
변재영 울산항만공사 사장은 “미 관세 정책 영향 등 울산항을 둘러싼 수출입 여건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라며 “하반기 항만 운영 경쟁력 강화를 통한 수출여건 개선 및 물동량 유치 영업활동 강화를 통해 신규 수요 창출에 지속적인 노력을 경주하겠다”라고 밝혔다.
강세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emin382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