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경기도, 개별자유여행객 유치 전략적 대응 나서

글로벌이코노믹

경기도, 개별자유여행객 유치 전략적 대응 나서

경기도청사 전경. 사진=경기도이미지 확대보기
경기도청사 전경. 사진=경기도
경기도가 개별자유여행객(FIT: Free Independent Travelers) 유치를 위한 전략적 대응에 나섰다.

도는 ‘3.3.5.5(삼삼오오)’ 목표를 골자로 하는 개별자유여행객 대응 전략을 수립했다고 5일 밝혔다.

‘3.3.5.5’는 △경기도 방문 비율을 10%에서 30%로 확대 △평균 체류일을 2.13일에서 3일로 연장 △1인당 관광 지출액을 35만 원에서 50만 원으로 증대 △재방문율을 34%에서 50%로 끌어올린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삼삼오오'가 모여 소규모 자유여행 형태를 상징하는 표현이기도 하다.

실제로 문화체육관광부 통계에 따르면, 방한 외래관광객 중 FIT 비율은 2019년 77.1%에서 올해 80.5%로 증가했지만, 경기도 방문 외래관광객 비율은 2019년 14.9%에서 2024년 약 10% 수준까지 감소해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이에 도는 지난 3월부터 가천대학교, 경기연구원, 한국관광공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경기관광공사 등 전문가들과 공동 연구팀을 구성, 구체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했다.

이번 전략은 △접근성 제고 △관광 콘텐츠 개발 △홍보·마케팅 강화 △관광 거버넌스 체계 구축 등 4대 추진전략과 18개 세부 과제로 구성됐다.

접근성 강화 방안으로는 △셔틀 및 당일투어 노선 확대 △경기도 관광택시 도입 △서울 도심 내 경기관광 안내센터 조성 △외국인 대상 스마트 관광 인프라 구축 △숙박 인프라 확충을 위한 규제 완화가 제시됐다.

콘텐츠 개발 분야에서는 △외국인 전용 경기투어패스 도입 △DMZ 및 캠핑·산업관광 활성화 △경기 대표 음식 콘텐츠 육성 등이 담겼다.

홍보·마케팅 전략으로는 △경기도 글로벌 통합브랜드 확산 △디지털 채널 강화 △MZ세대 타깃 콘텐츠 제작 △옥외광고물 홍보 확대 △FIT 대상 맞춤형 마케팅 등이 추진된다.

이와 함께 도는 경기도·시군·관광공사·민간이 참여하는 관광 거버넌스 체계를 강화하고, 수도권 차원의 초광역 관광 협의체(경기·서울·인천 연계) 구성도 검토 중이다.

도는 2026년부터 실행 가능성이 높은 과제를 중심으로 신규 사업화에 나설 예정이며, 숙박 규제 완화 등은 중앙정부에 정책 개선을 건의할 계획이다.

장향정 경기도 관광산업과장은 “경기도를 FIT 친화형 관광지로 혁신하고, 자연·역사·도시문화가 어우러진 차별화된 콘텐츠로 외래관광객의 만족도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전략은 지난 7월 15일 열린 ‘2025년 제1회 경기도 문화관광발전위원회’에서 보고됐으며, 위원회 논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이지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dms79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