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는 지난 22일 행정안전부로부터 4개 일반구 설치 승인을 받았으며, 오는 2026년 2월 1일 정식 개청을 목표로 준비에 들어갔다.
시는 권역별 맞춤형 행정을 통해 시민 삶의 질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만세구는 자연과 산업이 어우러진 혁신도시 △효행구는 신·구도심을 아우르는 교육중심 정주도시 △병점구는 역사와 첨단기술이 공존하는 성장도시 △동탄구는 자연과 조화된 미래산업경제도시를 비전으로 설정해 차별화된 발전 전략을 추진한다.
화성시는 이미 2010년 인구 50만 명을 돌파하며 일반구 설치 요건을 충족했지만, 당시 중앙정부의 ‘작은 정부’ 기조와 행정체제 개편 논의로 추진이 지연됐다. 이후에도 △책임읍면동제 도입(2015~2016) △3개 구 설치안(2019) 등을 시도했으나 번번이 무산됐다.
또 국회·행정안전부·경기도 등 관계기관과 긴밀한 협의를 이어간 끝에 지난 8월 행정안전부 최종 승인을 이끌어냈다.
정명근 시장은 “이번 일반구 설치는 단순한 행정 개편이 아니라 ‘시민 중심 도시’로의 대전환”이라며 “앞으로 화성은 더 빠르고, 더 가깝고, 더 똑똑하게 달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는 이번 승인을 계기로 △조례 제·개정 △조직·인력 배치 △사무 위임 정비 △구 개청 홍보 등 사전 준비를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이지은 이형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uk1515@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