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도내 관세 피해기업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고 28일 밝혔다.
도는 기존 수출 중소기업 중심에서 협력사까지 범위를 넓히고, 전년도 수출액 제한 요건도 폐지해 더 많은 기업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조치는 지난 20일 평택에서 열린 김동연 지사와 자동차 수출기업 간 현장 간담회에서 나온 건의를 반영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도는 하반기부터 수출지원 사업 공고 시 전년도 수출액 제한을 없애 참여 기회를 넓혔다.
그간 해외규격인증, 물류비 지원, 통상촉진단 사업은 수출실적 2천만 달러 이하, 무역위기대응 패키지는 3천만 달러 이하라는 조건이 있었지만 앞으로는 이런 제한이 사라진다.
또 친환경차 부품 수출기업 인증 지원 시 중소기업을 우선 선발해 정책 수혜 폭을 넓히고, ‘경기기업비서’통해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정책 정보를 제공한다. 아울러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과 협력해 정책설명회도 열 예정이다.
내년 초 도는 ‘경기도 관세피해 수출기업 경쟁력 강화 펀드(G펀드)’를 조성해 기술·시장성이 있는 중소기업에 집중 투자한다. 총 500억 원 규모로, 신기술·신시장·신사업 기업이 주요 대상이다.
관세 피해로 경영난을 겪는 기업을 위한 특별경영자금도 확대된다. 기존 대미 수출기업에 한정됐던 지원 대상을 2·3차 영세 협력사까지 포함시켜 자금을 별도 배정한다.
도는 지난 4월 전국 최초로 500억 원 규모의 특별경영자금을 편성한 뒤,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따라 규모를 1천억 원으로 늘린 바 있다.
이와 함께 현장에서 기업이 겪는 복잡한 규제와 행정 절차 개선에도 나선다. 9월부터 12월까지 자동차, 배터리, 반도체 등 제조업 현장을 직접 찾아 기업·연구기관·공공기관·기업옴부즈만 등이 참여하는 규제 개선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정두석 경기도 경제실장은 “이번 후속조치는 평택 간담회에서 나온 기업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반영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현장의 건의사항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정책과 제도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꼼꼼히 챙기겠다”고 밝혔다.
이지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dms79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