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허식 인천시의원, “市는 말이 아닌 행동으로 응답하자”

글로벌이코노믹

허식 인천시의원, “市는 말이 아닌 행동으로 응답하자”

300만 인천시민의 자유민주주의, 자유시장 질의
청소년 정신병상·복합문화센터 MOU 체결 ‘칭찬’
연안부두 교통대책 개선 필요···시민 존중 제시
시정 질의 PPT와 허식 의원(동구). 사진인천시의회이미지 확대보기
시정 질의 PPT와 허식 의원(동구). 사진인천시의회
인천광역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 허식 의원이 시정 질의에서 300만 인천시민의 자유민주주의, 자유시장 경제와 관련된 PPT 자료를 통해 “인천시민의 요구는 미룰 수 없는 명령”이라며 송도 6·8공구 103층 랜드마크 사업과 R2 부지 개발 등 개선을 촉구했다.

허 의원은 지난 4일 열린 제303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지난 3월과 6월 두 차례에 걸쳐 청소년 전용 정신병상 설치와 화도진도서관 복합문화센터 신축 건립 필요성을 제기한 바 있다. 기관끼리 MOU 체결로 가시화됐다”고 언급했다.

협약서.  자료=인천시의회이미지 확대보기
협약서. 자료=인천시의회

유정복 시장과 도성훈 교육감, 동구청장, 인천의료원장의 협약은 이 사업에 있어 단 하루도 늦춰서는 안 된다는 것, 인천교육청이 화도진 도서관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인천시 부지와 일부 동구가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시 교육청은 인권비 등 이유로 신축을 미루고 있다.

인천교육청 사업이 답보 상태로 가자 주민들도 곱지 않은 시선이다. 이는 시민을 대하는 존중이 아니기에 허 의원은 “9월 내 반드시 성과를 내라”고 주문했다. 동구민들 또한 이 사업은 조속히 진행되도록 요구하고 있는 것이 지역 여론으로 적극적인 자세라고 말한다.

허 의원은 시민들로부터 인천시가 최고의 정책으로 큰 호응을 얻고 있는 ‘아이 바다패스’ 또한 시정 질의에서 지적했다. 그는 시민들이 열광했지만 “배표 대란과 여전히 연안여객터미널까지 교통은 여전히 불편하다”며 “도시철도 3호선 연장안은 10년 뒤 이야기일 뿐”이라고 꼬집었다.

인천 개발지역 위치도.  자료=인천시의회이미지 확대보기
인천 개발지역 위치도. 자료=인천시의회


이어 허 의원은 “지금 당장 동인천역에서 연안부두까지 버스전용차선과 BRT를 설치하라. 말뿐인 계획이 아니라 실행으로 증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6·8공구 개발 사업의 사례도 PPT를 통해 거론했다.

허 의원은 “인천시가 여러 가지 사업들을 진행하고 있다. 이익 환수는커녕 인가 이후 관리·감독은 부실했고, 결과적으로 시는 빈손”이라고 비판했다. 인천경제자유구역 사업이 원안대로 추진됐다면 문제가 없었을 것”이라는 후문도 뒤따른다.

한 건설 전문가는 “도시를 개발하는데 있어 변경하려면 민간 위원회로 책임을 떠넘길 것이 아니라 주민공청회부터 개최해 투명한 행정을 진행해야 한다”며 “내부적으로 책임자가 기안해놓고 문제가 생기면 위원회 결정으로 돌리는 행정은 개선돼야 한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건설 전문가 A 씨(송도 거주, 62 남)는 사업 변경에 있어 주민공청회를 통해 여론을 수렴한 후 진행하면 수익 구조에 보완 시너지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이 한 가지만 시정을 해도 시민을 위해 쓸 수가 있는 제원이 마련된다.

끝으로 허 의원은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는 자가 강한 자라는 교훈처럼, 인천은 지금 생존을 위한 치열한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며 “집행부는 안이한 행정에서 벗어나 오직 시민을 위한 결단을 시행함으로 행정 개선에 응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민들은 “공무원들이 스스로 시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의지가 확고해야 시민 지지가 뒤따른다”며 “책임지는 공직사회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재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cjm990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