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박수영 의원 "산불 진화 헬기 67%는 30년 이상 노후화"

글로벌이코노믹

박수영 의원 "산불 진화 헬기 67%는 30년 이상 노후화"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부산 남구)이미지 확대보기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부산 남구)
현재 산불 진화 등에 투입되는 헬기 88대 중 59대(약 67%)가 기령 30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이 조달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 중 40년 이상의 기체는 28대, 50년 이상은 9대, 60년 이상은 3대에 이른다.

이러한 노후 헬기의 사용은 최근 2021년부터 올해까지 발생한 5건의 헬기 사고와 관련이 있으며, 이로 인해 9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당한 사례가 있다.

박 의원은 노후 헬기의 임차와 활용은 조달청의 조달 방식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달청은 '나라장터'를 통해 헬기를 임차하며, '다수공급자계약제도'를 통해 업체를 선정하고 있다. 이 제도는 업체가 헬기를 제공하면 조달청이 가격 자료를 수집해 협상 기준 가격을 정하고, 그 이하 가격에서 낙찰되는 구조로, 헬기 업체들은 임차가격을 인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헬기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헬기 운행 시 조종사 2명이 필요하지만 현행 단가로는 조종사 1명의 인건비조차 감당하기 어렵다.

또한, 헬기 특성상 수입 부품이 많아 치솟는 환율과 유류비 상승으로 인해 운영이 어려운 상황이다. 한 관계자는 "수리비 확보도 되지 않을 정도로 적자로 운영을 포기해야 할 수준"이라고 전했다.

박수영 의원은 "노후 헬기를 계속 사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가 고착화되면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며, "조달청은 헬기 단가를 산정할 때 '감항검사' 등 안전성 평가 요소를 반영해 기령에 따라 차등적인 가격결정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새 헬기는 단가를 현실화하고, 노후 헬기는 현행 수준을 유지하는 합리적인 체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