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12일 도에 따르면, 국내 반도체 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18.5%로 세계 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 중 경기도가 부가가치액의 84.7%, 매출액의 76%를 차지한다.
민선 8기 경기도는 이러한 산업 경쟁력을 토대로 '성남~수원~화성~용인~안성~평택~이천'을 잇는 초대형 반도체 벨트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핵심 단지는 △삼성전자의 용인 이동·남사 클러스터(728만㎡, 360조 원 투자) △평택 고덕(390만㎡, 120조 원) △SK하이닉스의 용인 원삼 클러스터(415만㎡, 122조 원)로, 총 600조 원 규모의 민간투자가 2047년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완공 시 세계 최대 반도체 생산단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도는 반도체 전 주기를 아우르는 ‘설계-연구-생산-소부장-인재양성’ 통합 생태계를 구축 중이다.
판교에는 팹리스 클러스터와 ‘시스템반도체 개발지원센터’, ‘경기도 팹리스 아카데미’를 운영하며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 수원 광교테크노밸리에는 ‘경기도 반도체기술센터’를 설립해 신제품 개발과 테스트베드 기능을 강화했다.
안성 보개면에는 157만㎡ 규모의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특화단지가 조성 중으로, 2030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세계적 반도체 장비기업들의 투자가 잇따르고 있다. ASML(네덜란드)은 화성 동탄에 첨단 EUV 클러스터를, AMAT(미국)은 오산에 차세대 R&D센터를 설립 중이다. 도쿄일렉트론(일본)은 화성에 R&D센터를 완공했으며, 램리서치(미국)는 용인 지곡산단에 코리아테크놀로지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지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dms799@naver.com













![[뉴욕증시] 혼조세 속 나스닥 지수만 상승](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1506411400710c35228d2f517519315010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