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 기업, 코로나 방역 지속 탓 중국 수요 부진 경고

공유
0

글로벌 기업, 코로나 방역 지속 탓 중국 수요 부진 경고

베이징에 세운 레노버 로고.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베이징에 세운 레노버 로고. 사진=로이터
글로벌 기업들은 지속되는 코로나 방역 규제로 인해 중국 수요가 부진해졌다고 경고했다.

26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글로벌 공급망을 강타하는 중국의 대규모 봉쇄가 두 달째 시행됨에 따라 중국의 소비량과 판매량이 급감했다.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의 자동차 판매 증가율이 대폭 둔화됐고, 게이머들이 구매하는 게임기는 감소했다. 또 봉쇄 사태 장기화로 인해 중국의 실업률이 대폭 상승했고 소비력이 억제됨에 따라 스마트폰, 개인 컴퓨터와 TV 등을 구매하는 의향이 떨어졌다.

4월 중국의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11.1% 하락했고, 이는 3월의 3.5% 하락 폭보다 확대됐다. 산업생산도 2.8%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연간 국내총생산(GDP) 성장 목표치를 5.5%로 유지하고 있는 반면 UBS와 JP모건은 중국 올해의 연간 GDP 성장 전망치를 3%와 3.7%로 하향 조정했다.

또 일부 경제학자는 중국 4~6월의 GDP가 전년 동기 대비 하락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1분기 중국 GDP 성장률은 4.8%로 집계됐다.

미국 반도체 제조업체 엔비디아의 콜렛 크레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현재 중국의 봉쇄는 공급과 수요 양측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중국의 엄격한 코로나19 방역 규제는 게임 판매에 4억 달러의 타격을 입혔다”고 예측했다.

자동차 제조업체들도 큰 타격을 입었고, 판매량이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는 지난달 19일까지 22일동안 생산 중단했고 이로 인해 테슬라 4월의 판매량과 생산량이 급감했다. 테슬라는 생산 재개 뒤 생산 능력을 봉쇄 이전으로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나 공급 부족 문제로 인해 생산 능력 회복 계획이 24일로 연기됐다.

중국승용차협회에 따르면 5월 첫째주부터 셋째주까지의 자동차 소매량은 4월 동기 대비 34% 증가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 16% 하락했다.

중국승용차협회는 “정부는 자동차 산업에 더 많은 지원 정책을 제공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글로벌 최대 개인 PC 제조업체 레노버의 1분기 매출 성장률도 수요 감소로 인해 7분기 만의 최저치로 집계됐다.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는 “데스크탑, 노트북, 워크스테이션 등을 포함한 중국 PC 출하량은 1분기 내에 1% 하락했고 지난 7분기의 성장세를 그쳤다”고 밝혔다.

중국 시가총액이 가장 높은 빅테크기업 텐센트는 2004년 상장 후에 가장 낮은 실적을 기록됐다. 이는 소비자, 전자상거래와 관광업이 광고 지출을 삭감했기 때문이다.

애플 공급업체 폭스콘은 “중국의 스마트폰 수요는 축소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 본토 스마트폰 제조업체 샤오미는 수요 축소로 인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1분기 출하량이 22.1% 감소했고, 중국시장에서의 출하량은 18.2% 떨어졌다.

전자상거래업체 징둥닷컴은 “이번 코로나19 확산 사태는 2020년과 다르다”며 “당시 코로나 바이러스는 작은 지역에서 확산됐고 온라인 쇼핑을 촉진시켰다”고 전했다.

이어 “그러나 이번의 규제 강도가 높아지면서 물류가 중단됐고 주문 취소 비율이 지난해보다 높았다”고 말했다.

확진자 대폭 감소에 따라 상하이는 6월부터 규제를 완화하고 봉쇄를 해제할 계획이지만, 베이징은 확진자 증가로 인해 방역 규제 강도를 높였다.

중국 인민은행은 “금융기관들에 중부·서부지역과 코로나19로 인해 타격을 입은 기업과 기업에 대출을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요구했다”고 전달했다.

또 중국 재정부는 “중국 항공사들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후퇴와 유가 상승 등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도록 5월 21일부터 7월 20일까지 보조금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상하이와 인근 도시의 봉쇄로 인해 중국 본토 항공 교통량이 감소했다.

본사가 상하이에서 둔 중국 동방항공에 따르면 4월의 승객 수는 전년 동월 대비 90.7% 폭감했다.

지동차 부품 제조업체 사장은 “당국이 방역 규제를 완화하지 않은 이상 다른 정책을 출범해도 큰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양지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vxqha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