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日 중소기업, 물가상승으로 도산 사상 최대

공유
0

日 중소기업, 물가상승으로 도산 사상 최대

전년보다 3.6배 급증

일본 도쿄 중심지의 마천루 모습. 사진=닛케이 캡처이미지 확대보기
일본 도쿄 중심지의 마천루 모습. 사진=닛케이 캡처
지난해 물가상승으로 도산한 일본 중소기업들이 사상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3일(현지시간) 닛케이(日本經濟新聞)등 일본 현지매체들에 따르면 원자재가격 상승에 가격인상이 따라가지 못해 발생하는 ‘물가상승 도산’이 지난해 463건을 사상최대치를 기록했다. 물가상승이 일본 중소기업 경영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는 것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로 일본의 가격전가는 미국과 유럽의 절반정도에 불과하다. 이런데도 경영난을 겪는 일본 중소기업들이 증가한다면 치솟는 임금인상 추세도 이들 업체들에 설상가상으로 추가적인 충격을 줄 수 있다.

데이코쿠(帝国)데이터뱅크의 집계에서는 매입가격 상승과 가격전가 불가를 도산의 이유로 꼽은 기업수는 지난해 463건이었다. 지난 2021년의 136건의 3.4배로 급증했다. 특히 올해3월은 월간으로 67건을 기록해 월간기준 사상 최대였다.

물가 고공행진을 이유로 한 도산이 일본 전국에서 잇따르고 있다. 오사카(大阪)부 도요나카(豊中)사에서 정육점 ‘오니쿠쇼유키야(お肉処ゆうき屋)’를 운영했던 퀄리티 프렌즈는 3월1일 오사카지방법원에 파산을 신청했다.

도쿄(東京)상공리서치에 따르면 부채는 약 3억엔이며 매입비용이 고공행진하는 가운데 가격전가가 이루어지지 않아 채산이 악화됐다.

일본 후쿠시마(福島)현 아이즈와카마쓰(会津若松)시의 마루니메(丸峰) 관광호텔은 지난 2월 28일에 민사재생법의 적용을 신청했다. 아시노마키(芦ノ牧)온전을 중심으로 여관 등을 운영하고 있었지만 코로나19 위기로 이용자가 감소한데다 엎친데 덥친 격으로 연료비의 고공행진이 결정타를 날렸다. 데이코투 데이터뱅크는 부채액이 관련화사를 포함해 약 25억550만엔에 달했다.

일본내에서의 가격전가는 미국과 유럽에 비해 진행이 느리다.
일본종합연구소의 야마다 히사시(山田久) 소장은 “소비자물가지수(신선식품 포함한 종합)와 기업물가지수로부터 가격전가의 진척상황을 산출했다. 기업간 거래를 보여주는 기업물가의 상승이 일반 상품과 서비스 가격에 어느정도 반영되는가를 분석했다.

코로나19 위기시기인 2020년 7~9월기와 2022년 10~12월기를 비교한 결과 일본의 전가율은 20.3%로 미국(48.5%)와 유럽(58.1%)의 절반이하에 그쳤다.

분기마다 전가율도 일본의 상승률은 미국과 유럽보다 낮다. 소비자물가지수가 3~4%대의 높은 증가율이 보였던 올해 1~3월기도 22.1%로 별반 다르지 않았다.

야마다는 “일본은 물가가 오르지 않는다라는 사회통념이 지금도 소비자들에게 뿌리깊게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서비스업에서 진척도가 뒤늦다. 데이코쿠 데이터뱅크가 지난해 12월에 기업이 100엔의 비용증가를 어디까지 전가할 수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오락서비스업(12.7엔), 운수창고업(20.0엔), 여관∙호텔업(21.7엔)으로 조사됐다.

현재로는 물가고공행진으로 소비자의 생활방어지향이 강하다. 일본은행이 3월에 전국 4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생활의식에 관한 앙케이트조사'에서는 가격이 싸다를 중시하는 소비자가 57.65로 절반을 넘었다. 1년전의 51.7%보다 높아졌다.

음식과 숙박업에서는 최저임금의 상승도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운수업에서는 시간외 근무의 상한규제가 적용되는 24년문제도 부담으로 작용해 비용증가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가 집계한 올해 춘계노사교섭결과에서는 정기승급과 베이스업을 합친 임금인상률은 3.69%로 30년만에 최고수준을 기록했다.

일본정부는 가격전가를 밀어준다. 경제산업성은 하도급거래의 실태를 조사하는 ‘하도급G멘(중소기업청의 거래 조사원으로 하도급 중소기업을 방문하여 적정거래를 위한 대응 강화를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지난해 두배로 높여 올해 1월에 300인까지 늘렸다. 지속적인 임금인상을 실현할 수 있을지는 중소기업이 적정한 가격인상에 나설 수 있는 환경을 만들수 있을지가 열쇠를 쥐고 있다.


박경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jcho101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