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권자 56% '미국에 대한 후방지원 국한' 선호

일본 정치인들은 양안 전쟁에 대비해 열도에 군사 기지를 건설하고 미군의 전력 향상, 일본의 국방비 두 배 증액 등 조치를 한 바 있다.
아사히신문의 설문조사 질문은 2월 28일 전국적으로 무작위로 선택된 3,000명의 유권자에게 우편으로 발송되었다. 유효한 응답은 1,967명(66%)이다.
아사히신문의 조사에 따르면 일본 유권자의 56%는 중국과 대만이 전쟁을 하면 자위대는 후방에서 지원만 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을 보였다.
유권자들은 미중 군사 대결 가능성에 대한 자위대의 대응에 대해 세 가지 선택 중에서 56%는 자위대 역할이 미군에 대한 후방 지원으로 제한되어야 한다고 반응했다.
27%는 자위대가 미군과 협력해서는 안 된다고 답했고, 11%만이 자위대가 미군과 무력을 사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성별로는 여성 응답자의 33%가 미군과 협력해서는 안 된다고 답했다. 남성 응답자의 21%를 넘어섰다.
또한, 유권자의 80%가 미국과 중국이 대만을 두고 충돌하면 일본이 자연적으로 무력충돌에 휘말릴 것을 우려한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은 일본이 대만을 둘러싼 미중 군사 대결에 휘말릴 것이라는 우려 정도에 대해 28%는 “매우 우려”, 52%는 “어느 정도”라고 답했다. 반면에 응답자의 16%는 “별로 걱정하지 않는다”라고, 단지 2%만이 “전혀 걱정을 하지 않는다”라고 답했다.
대만과 비교적 지리적으로 가까운 큐슈 지역 응답자의 35%가 크게 우려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별로는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일본 남서부 지역은 대만과 가깝고 일본에 있는 미군 기지의 대다수가 있는 오키나와현이 포함된다. 이 점이 작용한 것이다.
유권자들은 일본이 국가 안보를 위해 외교와 경제를 통해 중국과의 관계를 심화하는 것과 방위력을 강화하는 두 가지 접근 방식 중 무엇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70%가 중국과의 관계 심화, 국방력 강화는 단지 26%에 불과했다.
성별로는 여성 응답자의 75%가 '중국과의 관계 심화'를 선택해 남성의 64%를 넘어섰다.
이 여론 조사는 전체적으로 양안 관계가 전쟁으로 가서는 안 되며, 일본이 이 전쟁에 휘말리면 안 된다는 일본 국민 속내를 반영한 것이다.
이를 두고 일본 정치인들이 어떤 조치를 밟을지 혹은 미국 정치인들에게 이 조사 결과가 어느 정도 영향을 줄지는 두고 봐야 한다. 다만 당사자인 대만의 우방인 일본조차 전쟁에 미온적이라는 사실에 크게 자극받을 수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