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챗GPT 창시자' 알트먼 "AI 기술 잘못 쓰이면 큰일난다"

글로벌이코노믹

'챗GPT 창시자' 알트먼 "AI 기술 잘못 쓰이면 큰일난다"

고급 AI시스템 관련 라이선스·안전 표준 제정 촉구
챗GPT 창시자가 인공지능의 앞날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이미지 확대보기
챗GPT 창시자가 인공지능의 앞날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챗GPT 창시자이자 오픈AI의 최고 경영자 샘 알트먼이 고급 인공지능 시스템에 대한 라이선스 및 안전 표준을 만들 것을 미 의회에 촉구했다.

샘 알트먼은 16일(이하 현지 시간) 미 상원 소위원회 청문회에서 AI 기술에 대해 “그것이 우리의 삶의 방식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 이 기술이 잘못되면 큰 일 난다"고 밝혔다.

알트먼은 "특정 규모 이상의 모든 노력에 라이선스를 부여하고 안전 표준 준수를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기관”을 의회에 요구했다.

그 동안 그는 오픈AI가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도구를 사전 테스트하고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며 이를 대중에게 널리 제공하는 것이 실제로 회사가 위험을 식별하고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해 왔다.
이날 청문회는 두 달 만에 약 1억 명의 사용자로 급증한 소비자 대면 챗봇인 챗GPT와 같은 AI 시스템의 빠른 소비자 채택으로 촉발된 광범위한 우려로 관심이 집중됐다.

AI 기술이 선거, 지적 재산 절도, 뉴스 보도, 군사 작전, 심지어 다양성 및 포용성 이니셔티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을 다루는 청문회였다.

알트먼은 챗GPT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최신 버전을 언급하며 "GPT-4가 생물이 아니라 도구라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은 통제 가능한 도구일 뿐이다"라고 강조했다.

의원들은 이날 청문회가 새로운 AI 시스템을 이해하는 첫 번째 단계라고 설명했으며, 양당 의원들이 연방 규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회 대응에 대한 합의 부족을 토로했다.

상원 법사위 패널의 공화당 최고위원 조시 홀리(미주리) 상원의원은 "기술 혁신과 윤리적, 도덕적 책임 사이에서 균형을 잡을 수 있나?"고 물었다.

오픈AI의 투자자인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운영 체제에서 챗GPT를 활성화하고 구글을 바드(BARD)라는 시스템을 포함하여 자체적인 생성 AI 시스템을 앱에 추가하면서 하룻밤 사이에 업계 경쟁을 촉발시켰다.

알트먼은 15일 양당의 약 60명의 하원 의원을 개인적으로 만났다. 이달 초 그는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최고경영자, 카맬라 해리스 부통령과 백악관 좌담회에 참석했다.

16일 청문회에서 몇몇 의원들은 선거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으며 AI 시스템이 어떻게 허위 정보를 퍼뜨리거나 유권자를 조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지에 대해 궁금해 했다.


이수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