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프랑스, EU 대중강경노선 주도…관련 산업 타격 경계

글로벌이코노믹

프랑스, EU 대중강경노선 주도…관련 산업 타격 경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유럽에서 세를 넓혀가는 중국 EV에 대해 WTO 규정에 따라 징벌적 관세를 부과할 것인지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본부.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유럽에서 세를 넓혀가는 중국 EV에 대해 WTO 규정에 따라 징벌적 관세를 부과할 것인지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본부. 사진=로이터

유럽연합(EU)이 중국에 대해 그 어느 때보다 엄격한 대중강경노선을 진행할 예정에 있으며, 이를 주도하는 것이 프랑스인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와 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EU의 대중 강경 노선에서 주도하는 것이 프랑스 정부이며, 강경한 입장을 보이지 않을 경우 EU 경제에 장기적인 타격이 올 것이라고 경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익명의 관계자는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프랑스는 중국 정부의 무역 관행이 유럽 기간산업에 중대한 위협을 가져오기 시작했다고 보고 있다”라며 “대표적인 것이 태양광 발전 관련 생산 산업으로, 10여년 전 유럽은 중국의 값싼 제품 수출 러시로 관련 사업에 막대한 타격을 입은 바 있으며, 현재는 유럽 자동차 업계가 이런 비슷한 길을 걸을 수 있다”라고 전했다.

그러나 EU가 바라보는 것은 연 9000억달러 규모에 이르는 유럽과 중국의 무역 관계를 미·중 간 같은 정면충돌 무역분쟁으로 만드는 것이 아닌, 세계 최대 경제권 간에 공평한 경쟁 조건을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EU 측 당국자는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EU를 미·중 간 균형을 맞추는 세력으로 인식해 주기를 바란다”라며 “그럴 경우 프랑스 등 EU 회원국은 인도와 같은 동맹국이 될 수 있는 특별한 관계를 맺을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EU의 행정 집행기관인 유럽위원회는 이달 중국에서 EU 시장으로 들어오는 전기자동차(EV)에 대한 보조금 조사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이를 강하게 비판하며 중국 측의 과잉 반응이라는 분석과 유럽과 중국 간의 무역전쟁이 촉발될 위험이 있다는 목소리로 나뉘고 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