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MC 반도체 대체 불가능...미국이 관세 부담 떠안을 것"
"반도체 전반에 관세 부과하면 '재앙적 결과'"
"반도체 전반에 관세 부과하면 '재앙적 결과'"
이미지 확대보기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27일 공화당 행사에서 "대만산 반도체에 25%, 50%, 심지어 100%까지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그들은 이를 피하고 싶어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국 내 반도체 생산을 유도하기 위한 강경 조치로 해석된다.
반도체 업계 전문가들은 TSMC가 사실상 '가격 결정자(price setter)'로서 미국이 일방적으로 관세를 부과하기 어려운 구조라고 지적한다. 추이다셩(邱達生) 대만 둥하이대 경제학 교수 겸 아태상공회의소연맹 사무총장은 "TSMC의 주문량이 현재 풀가동 상태며, 특히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고 있어 대체할 수 있는 업체가 없다"고 밝혔다.
그는 "TSMC의 반도체는 인텔조차 쉽게 생산할 수 없는 수준"이라며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결국 미국 수입업체들이 이를 감당할 수밖에 없고, 이는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국이 중국산 플라스틱처럼 다른 국가에서 대체 공급처를 찾을 수 있는 품목과 달리 반도체는 대체가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트럼프가 단순 칩뿐만 아니라 그래픽처리장치(GPU), 모듈, 서브시스템 등 반도체 전반에 걸쳐 관세를 부과할 경우 미국 반도체 업계 자체가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팀 컬판(Tim Culpan) 블룸버그 전 칼럼니스트는 기고문에서 "미국은 현재 TSMC 수준의 반도체를 자체 생산할 역량이 없다"며 "공장을 짓고, 장비를 가동하며, 품질 인증을 받기까지 몇 개월, 아니 몇 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TSMC가 가장 큰 피해를 입지는 않을 것"이라며 "오히려 피해를 보는 쪽은 오라클의 래리 엘리슨, 오픈AI의 샘 올트먼, 소프트뱅크의 손정의처럼 트럼프와 가까운 기업들"이라고 분석했다. 컬판은 "트럼프가 진정 원하는 것은 TSMC가 미국에 더 많은 투자를 약속하고 '충성 서약'을 하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TSMC를 압박하면서 반도체 산업을 둘러싼 미국과 대만·중국 간 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관세 부과를 강행할 경우 반도체 공급망에 미치는 여파와 TSMC의 대응이 향후 시장의 변수가 될 전망이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뉴욕증시] FOMC·미중 정상회의에 촉각](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02606334703527c35228d2f517519315010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