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발 F414 엔진·AESA 레이더 장착 4.5세대 성능…2026년 한국 공군 배치 목표
내부무장창·완전 스텔스 없고 미국산 부품 의존…비동맹국 수출 제한 과제로
내부무장창·완전 스텔스 없고 미국산 부품 의존…비동맹국 수출 제한 과제로
이미지 확대보기군사전문매체 내셔널시큐리티저널은 24일(현지시각) "KF-21이 첨단 전투기를 원하지만 대규모 F-35 기단을 감당할 수 없는 국가들을 겨냥한 4.5세대 저가형 스텔스 전투기"라고 보도했다.
75억 달러 투입해 4.5세대 성능 구현, 2026년 공군 배치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국방과학연구소(ADD)가 주도하는 KF-21 프로그램은 2015년부터 2028년까지 75억 달러(약 11조 원)을 투입해 개발되고 있다. 이 전투기는 지난 2021년 4월 공식 공개됐으며, 2022년 7월 첫 비행에 성공했다. 순조롭게 진행되면 2026년 중반까지 대한민국 공군에 배치될 예정이다.
KF-21은 쌍발 GE F414 엔진과 능동전자주사배열(AESA) 레이더를 장착했으며, 한국의 요구에 맞춰 대폭 개조된 현대식 기체를 특징으로 한다. 초기 가격 추정치는 대당 8000만~1억 달러(약 1170~1470억 원) 사이로, 많은 수출용 F-35 변형기보다 훨씬 낮다. 내셔널시큐리티저널은 "이 때문에 한국의 저렴한 F-35로 불린다"고 전했다.
방산업계에 따르면 KF-21의 가격은 F-35 등 동급 경쟁 전투기의 70~80% 수준이다. 지난달 불가리아 군사전문매체 밀리터리는 KF-21의 대당 가격이 기존 7040만 달러(약 1030억 원)에서 1억 1000만 달러(약 1610억 원)로 상승했다고 보도했으나, 이는 첨단 기술 반영과 원자재 비용 증가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UAE 160억 달러 수출 협상 추진, 중동·동남아 공략
한국은 이미 KF-21 플랫폼을 중심으로 아랍에미리트(UAE)와 150억~160억 달러(약 22조~23조5000억 원) 규모의 생산 수출 패키지를 협상 중이다. 지난 8월 UAE 국방차관이 경남 사천 공군기지에서 KF-21 시제기를 직접 타고 성능을 점검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UAE는 현재 운영 중인 무기 체계 대부분이 노후화로 대규모 교체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방산업계에 따르면 UAE의 무기 체계 중 전차 390여 대, 전투기 60여 대, 자주포 80여 대 등이 교체 대상이다. UAE는 프랑스 미라주 전투기 등 노후화로 최신 전투기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한국의 KF-21에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지난 6월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수정된 KF-21 비용 분담 협정을 체결했다. 방위사업청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방산전시회를 계기로 인도네시아 측과 '공동개발 기본합의서 개정안'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의 개발 분담금은 당초 합의 금액인 1조6000억 원에서 6000억 원으로 삭감됐으며, 기술 이전도 축소됐다. 자카르타는 48대의 KF-21 구매 계획을 재확인했다.
미국산 부품 의존과 스텔스 부재가 수출 제약 요인
그러나 KF-21은 여전히 제약 요인에 직면해 있다. 현재 블록 I 버전의 KF-21은 F-35처럼 완전한 내부 무기창과 완전한 스텔스 기능이 없다. 대신 외부에 무기를 장착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이 경우 레이더에 완전히 포착되지 않도록 하는 데 한계가 있다.
여러 센서에서 수집한 정보를 하나로 통합해 분석하는 능력과 전 세계 어디서나 정비를 받을 수 있는 지원 체계 역시 아직 개발 중이다. 이 때문에 수출 주문이 들어와도 완전한 전투 통합과 지원 면에서 F-35를 따라잡기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다. 완전한 5세대 업그레이드(블록 III)는 아직 수년이 남아 있어, 초기 구매 국가들은 4.5세대 전투기를 받게 된다.
미국에서 공급하는 엔진과 센서 부품 때문에 수출 전망이 부분적으로 제한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미국 랜드연구소는 국제무기거래규정(ITAR)에 따른 수출 통제로 비동맹 국가 판매가 제한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업계에서는 KF-21이 F-35 대규모 기체를 구매할 여력이 없지만, 첨단 능력을 추구하는 공군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온다고 분석한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은 필리핀, 말레이시아, 폴란드 등과 수출 협상을 강화하고 있으며, 일부 국가는 기술 이전과 현지생산 조건까지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