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발행 본격 진입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가 이끄는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이 자체 토큰과 디지털 지갑 출시를 검토하며 본격적인 암호화폐 생태계 진입을 예고했다. 이는 콘텐츠 제작자의 경제적 자유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트럼프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 그룹(TMTG)은 주주 서한을 통해 유틸리티 토큰과 디지털 지갑 구축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해당 토큰은 트루스 소셜의 스트리밍 서비스 ‘트루스+(Truth+)’의 구독 결제 수단으로 활용될 예정이며, 이후에는 생태계 전반으로 유틸리티가 확대될 전망이다.
TMTG는 이번 계획을 통해 트루스 소셜의 핵심 가치인 검열 없는 대체 플랫폼 구축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들은 콘텐츠 플랫폼 운영을 넘어 디지털 자산을 활용한 수익화 구조까지 마련하며, 자사 지갑 안에서 토큰 기반 경제 구조를 형성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가문의 암호화폐 활동은 NFT 프로젝트에서 시작해 탈중앙화 금융(DeFi) 영역까지 확장되고 있다. 최근에는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 WLFI)'이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스테이블코인 'USD1'을 출시했으며, 해당 코인은 코인마켓캡 기준 1억 3,600만 달러 유통량을 돌파했다. 또한 WLFI는 DWF Labs로부터 2,5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며 미국 시장 확장에 박차를 가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 100일 동안 친암호화폐 행보를 이어가며 규제 환경 변화도 이끌고 있다. 연방준비제도(Fed)는 최근 은행의 암호화폐 산업 참여를 허용하는 지침을 발표했으며,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와 통화감독청(OCC)도 유사한 규제 전환을 단행했다. 이에 따라 트럼프 가문의 디지털 자산 참여는 지지와 비판 속에서도 향후 시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가족들이 비트코인 채굴 회사를 사들이고 스테이블 코인을 새로 출시한 가운데 그동안 투자해온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 암호화폐 시세조작과 이해충돌 내부자거래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일가가 가상화폐에 대한 투자를 급속도로 확장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과 차남인 주니어와 에릭이 설립한 AI 인프라 업체 '아메리칸데이터센터'(ADC)가 비트코인 채굴업체 '아메리칸 비트코인'을 출범한다고 보도했다. ADC가 가상화폐 인프라기업 HUT8의 비트코인 채굴 분야와 합병하는 형식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설립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 운영업체는 최대 2억5천만 달러(약 3천685억 원)를 가상화폐 등에 투자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을 가상화폐의 수도로 만들겠다고 공언한 뒤 친(親) 가상화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취임 직후에는 행정명령을 통해 가상자산 전략 비축 추진을 지시했다. 가상자산 전략 비축은 정부가 범죄자들로부터 압수한 비트코인을 매각하지 않고 계속 보유하고, 정부 예산으로도 신규 구매하겠다는 의미다. 이 같은 상황에서 트럼프 일가가 비트코인 채굴 분야에까지 손을 뻗침에 따라 이해충돌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에 더욱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연루된 암호화폐 프로젝트에 대해 전 CFTC(상품선물거래위원회) 위원장도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오바마 정부 시절 CFTC 위원장이었던 팀 마사드(Tim Massad)는 트럼프의 밈코인과 월드리버티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 이하 WLF) 같은 프로젝트가 심각한 이해 상충과 부패 가능성을 안고 있다고 경고했다. 마사드는 인터뷰에서 “현직 대통령이 자신이 정책을 결정할 수 있는 산업에 사업적 이해관계를 갖는 건 매우 위험하며, 전례도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트럼프 가족이 WLF 수익의 75%, 보유회사의 지분 60%, 그리고 225억 개의 토큰을 보유한 사실은 명백한 이해 상충이라고 주장했다.
비트코인 채굴기 6만1천대를 가동할 예정인 아메리칸 비트코인은 세계 최대의 비트코인 채굴업체가 될 것이라는 게 트럼프 일가의 설명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와 에릭이 운영하는 ADC는 새로 출범하는 아메리칸 비트코인의 지분 20%를 소유하게 된다. 트럼프 주니어와 에릭은 지난해 대선을 전후해 가상화폐에 대한 투자를 본격화했다. 이들은 지난해 9월 가상자산 플랫폼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을 출범한 뒤 트럼프 대통령 부부의 밈 코인 판매 등을 판매했다. 매출액은 5억5천만 달러(약 8천105억 원)에 달한다.
뉴욕증시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가족의 가상자산 플랫폼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l)이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뛰어들었다.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은 'USD1'이라는 이름의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스테이블코인은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도록 특정 자산에 가치를 고정하는 가상화폐로, 주로 미국 달러나 유럽연합(EU)의 유로 가치 등에 고정돼 설계된다. WLFl는 'USD1'가 미국 달러에 고정되며, 미국 단기 국채와 미 달러 예치금 및 기타 현금성 자산을 담보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스테이블코인은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과 세계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사고팔 수 있게 된다.
가상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하이퍼리퀴드에서 익명의 큰손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고배율 베팅을 해 700만 달러(약 102억 원)의 수익을 챙긴 사실이 알려지면서 '백악관 내부자의 거래가 아니냐'는 소문이 확산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가족들도 가상화폐 업계와 관련이 있다는 점도 시장의 의구심을 부채질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과 차남인 주니어와 에릭은 암호화폐 플랫폼 업체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에 적을 두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설립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 운영업체는 최대 2억5천만 달러(약 3천645억 원)를 가상화폐를 포함한 자산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가 가상화폐 시장을 부양할 경우 트럼프 대통령 일가의 자산도 늘어나게 된다는 이야기다.
SEC 커미셔너 헤스터 피어스(Hester Pierce)가 암호화폐 시장 규제 강화를 위해 15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크립토 태스크포스(Crypto Task Force)'를 출범시켰다.이는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암호화폐 정책에 대한 규제 명확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피터 시프는 비트코인 전략적 준비금(Bitcoin Reserve)에 대한 자신의 입장이 왜곡되었다며, BTC를 지지한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비트코인 지지자들이 가격 상승을 위해 허위 정보를 퍼뜨리고 있으며, 트럼프의 게시물도 이러한 흐름의 연장선일 수 있다고 비판했다. 시프는 전략자산 5대 암호화폐 발표 트럼프의 게시물이 전략적으로 조작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해당 글이 올라오기 전 특정 인사들이 XRP, 카르다노(Cardano, ADA), 솔라나(Solana, SOL), 비트코인, 이더리움(Ethereum, ETH) 등에 미리 투자했는지를 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고 보도했다. 그는 트럼프 측근들의 이메일과 문자 메시지를 공개해, 내부 거래가 있었는지를 밝혀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트럼프의 밈코인은 공식 홈페이지 공지로 "세상에서 가장 특별한 초대장"이라며 $TRUMP를 가장 많이 보유한 220명과 트럼프 대통령이 비공개 만찬을 갖는 이벤트를 마련했다고 밝혔다.공지문은 "트럼프 대통령은 '코인 대통령'으로도 불린다"며 "이번 비공개 만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코인의 미래에 대해 직접 하는 이야기를 들을 기회"라고 홍보했다. 이벤트 예정일은 5월22일이며 장소는 워싱턴DC에 있는 트럼프 내셔널 골프클럽이다. 특히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상위 25명은 트럼프와의 별도 VIP 연회 및 백악관을 둘러보는 VIP 투어도 가진다. 홈페이지에선 현재 '백악관'은 거론되지 않고 'VIP 투어'라고만 표시돼 있다.
이와 관련 뉴욕타임스(NYT)는 "사실상 트럼프 대통령의 코인 사업에 투자하는 대가로 백악관 출입을 제한하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코인 발행에 관여한 뒤 윤리적 갈등 상황을 야기했다"며 "트럼프는 코인 산업에 긍정적인 법안 제정을 촉구하는가 하면 코인규제 당국 수장에는 규제 축소를 외쳐온 사람을 임명했다"고도 짚었다. 바이든 정부 미 증권감독원(SEC)에서 암호 화폐 정책을 담당했던 코리 프레이어는 "돈 내고 권력자 만나기를 제도화한 격"이라고 비판했다.코인 급등은 트럼프 일가에 직접적인 수익으로 이어진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과 관련된 사업체가 $TRUMP코인을 상당량 소유하고 있다"며 "$TRUMP의 가격이 오를 때마다 적어도 장부상으로는 대통령 개인이 이익을 본다"고 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