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美 자동차업계 관세 부담 완화...외국 부품 관세 15% 환급 결정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美 자동차업계 관세 부담 완화...외국 부품 관세 15% 환급 결정

자동차 제조사들 "환영" 속 투자 결정은 신중...GM, 관세 불확실성에 40억 달러 자사주 매입 중단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 완화를 발표한 가운데 캐나다 온타리오주 오샤와에 있는 GM 조립공장의 주차장에 새 트럭이 붐비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 완화를 발표한 가운데 캐나다 온타리오주 오샤와에 있는 GM 조립공장의 주차장에 새 트럭이 붐비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자동차 업계에 대한 관세 부담을 일부 완화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30(현지시간) 악시오스(Axios)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9일 미국 내에서 생산된 차량의 외국산 부품에 대한 관세 15%를 환급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

이번 조치로 미국 내에서 완성되는 자동차에 사용된 수입 외국 부품에 대해 지불한 관세의 15%가 자동차 제조업체에 상환되며, 이는 오는 53일부터 적용된다. 이 환급률은 내년에는 10%로 낮아질 예정이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국내에서 전체 공급망을 늘리고 생산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한 것이 매우 실용적으로 보였다""그들과 대화를 나누면서 우리는 그들이 얼마나 고용할 것인지, 얼마나 공장을 지을 것인지, 그리고 이 생산 준비 기간을 주는 대가로 미국이 무엇을 얻을 것인지에 대해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100일을 맞아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근교를 방문하는 날 발표됐다. 특히 중요한 변화는 자동차 관세가 철강이나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와 중복 적용되지 않도록 한 점이다. 다만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는 예외로 두어 중첩 적용이 가능하다.

◇자동차 업계, 관세 불확실성에 투자 결정 지연...GM 40억 달러 자금 계획 중단


자동차 업계는 표면적으로는 이번 조치를 환영하면서도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중요한 투자 결정을 미루고 있다. 제너럴모터스(GM)는 이날 올해 실적 전망을 철회하고, 40억 달러(568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을 중단했으며, 관세에 대한 추가 정보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실적 발표도 연기했다. GM1분기 자본 지출은 전년 동기 대비 3분의 1 감소한 18억 달러(25000억 원)를 기록했다.

컨설팅 회사 KPMG의 미국 자동차 부문 책임자인 레니 라로카(Lenny LaRocca)"공급업체가 외국 부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받고, 멕시코와 캐나다의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받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다시 25%의 관세를 부과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자동차 업계는 정부의 결정에 겉으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GM의 메리 바라(Mary Barra)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을 통해 "우리는 대통령의 리더십이 GM과 같은 기업들의 경쟁 환경을 공정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되고 있으며, 미국 경제에 더 많은 투자를 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스텔란티스의 존 엘칸(John Elkann) 회장도 "스텔란티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결정한 관세 완화 조치를 높이 평가한다""경쟁력 있는 미국 자동차 산업을 강화하고 수출을 촉진하기 위해 미국 행정부와 지속적인 협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포드의 짐 팔리(Jim Farley) CEO"미국에서 차량을 판매하는 모든 회사가 포드의 미국 제조 비율과 같은 수준으로 생산한다면 매년 400만 대의 차량이 미국에서 조립될 것"이라며 "미국은 새로운 조립공장과 부품업체 시설, 그리고 수십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생기는 혜택을 누리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라로카는 "현재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공급망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데 관심이 있다""단기적으로는 좋은 상황을 맞고 있지만, 이제 중장기적 전략을 평가하기 시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번 관세 완화 조치가 지난 28일 밤 처음 보도됐다고 전했다. 러트닉 상무장관은 국내외 자동차 회사들이 "생산라인 확장과 새로운 공장 건설 등을 통한 극적인 생산량 증가"가 있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고 강조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