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스즈키, 인도서 판매량 2030년까지 두 배로 늘린다...연간 400만대 생산 목표

글로벌이코노믹

스즈키, 인도서 판매량 2030년까지 두 배로 늘린다...연간 400만대 생산 목표

일본 자동차업체, '차세대 10억 인도인' 겨냥한 전략 구사
농촌 시장 공략·바이오가스 개발 등 차별화
인도 자동차 시장에서 1위를 달리고 있는 스즈키가 생산량을 두 배로 늘리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인도 자동차 시장에서 1위를 달리고 있는 스즈키가 생산량을 두 배로 늘리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인도 자동차 시장이 2030년까지 연간 판매량 500만대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시장 1위 업체인 마루티 스즈키가 생산량을 두 배로 늘리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서는 마루티 스즈키가 2030년까지 인도 생산량을 연간 400만대로 확대하고 국내 시장 점유율을 50%를 넘게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고 지난 20일(현지시각) 보도했다.

글로벌데이터(GlobalData)에 따르면, 인도 자동차 시장은 2020년 약 240만대에서 2030년 약 530만대로 10년간 2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인도는 이미 세계 3위 자동차 시장으로 발돋움했으며, 마루티 스즈키는 인도 자동차 판매량의 41%를 차지하고 있다.

마루티 스즈키 부사장 켄이치 아유카와는 FT와의 인터뷰에서 "인도에는 14억 명이 살고 있다. 이제 우리는 아직 자동차 시장에 들어오지 않은 새로운 10억 명의 인도인을 고객으로 끌어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 40년 동안 우리는 2억에서 3억 명의 부유한 인도인만 잠재 고객으로 보았다"며 더 넓은 소비자층을 공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아유카와 부사장은 농촌 지역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하고 있다. 그는 "농촌 지역에 다가가 그들이 무엇을 바라는지, 농촌 경제를 어떻게 북돋을지 알아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이들이 우리의 미래 고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스즈키는 인도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5년에 걸쳐 85억 달러(약 11조8000억 원)을 투자한다. 지난 2월에는 델리 근처 하리아나 주에 네 번째 공장을 가동했으며, 구자라트에서는 전기차와 배터리 생산도 늘리고 있다.

인도 시장 특성에 맞춘 전략도 눈에 띈다. 마루티 스즈키는 소똥을 바이오가스로 바꾸는 기반시설을 구축해 전기차를 살 형편이 안 되는 농촌 주민들에게 값싸고 깨끗한 연료를 제공한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업계 전문가들은 스즈키의 야심찬 계획이 여러 도전에 부딪힐 것이라고 지적한다. 펠햄 스미더스의 분석가 줄리 부트는 "현대, 르노, 폭스바겐 같은 외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인도를 '새로운 중국'으로 바라보고 있다"며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으며 스즈키가 시장 점유율을 지키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자토 다이내믹스 인디아 사장 겸 이사인 라비 바티아는 "인도 시장은 성장하기가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며 "일부 사람들은 돈이 많고, 많은 사람들은 돈이 많지 않으며, 도시 지역은 운전하거나 차를 세울 곳이 없을 만큼 꽉 찼다"고 지적했다.

글로벌데이터의 자동차 분석가 비벡 쿠마르는 "이곳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쏟는 열정과 투자는 상당히 크다"면서도 "인도 소비자 대다수는 가격에 매우 민감하다"고 말했다.

스즈키의 경쟁사들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타타 모터스와 마힌드라는 인도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SUV 시장에서 스즈키를 앞서고 있으며, 토요타는 인도 판매량이 3년 만에 30만대로 늘었다. 토요타는 스즈키 지분 약 5%를 갖고 있으며, 자사 기술을 제공하는 대가로 인도 시장에 관한 스즈키의 지식을 공유받고 있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스즈키는 비용을 철저히 관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 농촌 지역 대리점의 70%를 갖고 있다. 이와 관련해 미국 은행의 분석가 코타 유자와는 "스즈키는 수요가 구조적으로 강해야 하는 곳에서 강한 기반을 갖고 있다"며 "근본적으로 농촌 지역 시장의 성장은 시장 점유율을 크게 높일 여지를 준다"고 분석했다.

한편 스즈키 최고경영자(CEO) 토시히로 스즈키는 최근 연간 실적 발표에서 인도에서 판매를 늘리는 것은 "간단하지 않을 것"이라고 인정했다. 그는 미국의 관세와 카슈미르를 둘러싼 파키스탄과의 긴장으로 생길 수 있는 공급망 문제를 언급했다.

바티아 이사는 "스즈키가 지금까지 인도 도로를 석권한 이유는 탁월한 유통망과 뛰어난 사후 서비스 덕분"이라면서도 "이제는 소비자 요구에 맞는 더 다양하고 혁신적인 차종을 개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