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처 인덱스 2위 밀려나고 연구자 이탈 가속...미래 과학 발전에 긴장감 고조"

지난 6일(현지시각) 워싱턴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미국은 오랫동안 노벨상 수상자 수, 특허 등록, 혁신적 발견 등 여러 지표에서 세계 과학계를 이끌어 왔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 2기 들어 연방정부의 연구개발 예산이 크게 줄면서 미국 과학계의 우위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 "NSF· 국립보건원· NASA 등 기초과학 예산 최대 56% 줄어"
백악관은 최근 내년도 예산안에서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예산을 56%, 국립보건원(NIH) 예산을 40%, 항공우주국(NASA) 예산을 24% 줄이는 방안을 내놨다.
지난해 NSF는 33만 명이 넘는 과학자, 학생, 교사를 지원했지만, 올해는 9만 명만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알려졌다. 약 24만 명의 미국 과학자, 엔지니어, 미래 연구자가 연구 기회를 잃게 되는 셈이다. NASA의 2025년 예산도 248억 달러(약 33조 8700억 원)에서 24.3% 줄어든 188억 달러(약 25조 6800억 원)로 책정됐다. NASA의 과학 부문 예산은 거의 절반으로 줄어들며, 일부 우주 탐사 프로젝트는 취소될 예정이다.
◇ "중국, 네이처 인덱스 2년 연속 1위...미국 2위로 밀려"
국제학술지 네이처가 발표한 '네이처 인덱스 2025'에 따르면, 중국이 세계 최상위 학술지 논문 수와 영향력 등에서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미국은 2위로 밀려났으며, 세계 연구기관 상위 10곳 중 8곳이 중국 기관으로 나타났다. 미국 하버드대는 2위, MIT 등 일부 기관만이 상위권에 남았다. 네이처 인덱스는 논문 성과를 바탕으로 국가별, 기관별 연구 역량을 평가하는 지표다. 최근 미국의 연구 성과가 상대적으로 위축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 "연구 중단·인력 이탈...미국 과학계 긴장"
미국 연구 현장에서는 이미 연구 프로젝트 중단, 대학원생과 연구원 이탈, 신규 박사과정 학생 선발 중단 등 현실적인 어려움이 나타나고 있다.
메인대 클라리사 헨리(Clarissa Henry) 박사는 "국립보건원 연구비 지원 중단으로 연구소가 문을 닫을 위기에 놓였다"고 밝혔고, 뉴욕주립대 프레드 코왈(Fred Kowal) 회장은 "연구를 통해 생명을 연장하고 구하는 작업에 직접적으로 해를 끼치는 일"이라고 말했다. 플로리다주립대에서는 11개 연구 프로젝트가 중단됐고, NIH는 수천 건의 신규 연구비 신청을 검토조차 하지 않고 있다.
이런 변화로 미국 연구자들이 유럽 등 해외로 옮기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유럽 주요 대학과 연구기관들은 미국 내 연구 인력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다. 미국과학진흥협회 조앤 패드론 카니(Joanne Padron Carney)는 "중국, 프랑스 등 여러 나라가 미국 연구자 유치에 적극적"이라고 밝혔다.
◇ "기초과학 투자, 미국 혁신의 원동력...예산 삭감 장기적 영향 우려"
미국은 그동안 기초과학 연구에 대한 연방정부의 투자로 우주 탐사, 신약 개발, 첨단기술 등 여러 분야에서 세계적 성과를 거뒀다. NSF 전체 예산은 미국인 한 사람 앞에 연간 약 1달러 수준이었다. 업계에서는 이번 예산 삭감이 단순한 일시적 조정이 아니라 미국 과학 연구의 근간을 흔드는 큰 변화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시장에서는 "연구비 삭감이 미국의 과학기술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해석이 우세하다. 네이처 인덱스 등 객관적 지표에서도 미국의 연구 성과가 중국에 밀리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고 있다.
◇ "국제협력·미래 세대 연구기회에도 영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는 최근 "예산 삭감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지 단정할 수 없지만, 영향이 없다고는 할 수 없다"며 "미국 정부와 연구자들과 소통을 이어가며 여파를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미국과의 공동연구 협력 축소, 국내 기초과학 연구 투자 확대 필요성 등이 언급되고 있다.
이처럼 최근 미국 과학계는 트럼프 2기에서 대규모 예산 삭감으로 세계적 리더십에 큰 도전을 받고 있다. 연구비 지원 중단, 인력 감축, 연구 성과 위축 등 현실적인 어려움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 과학계의 미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