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정부가 미국의 반도체 규제에 반발해 미국 업체들을 대상으로 차별 및 덤핑 조사를 동시에 개시했다.
이는 미·중 간 새로운 통상 협상을 하루 앞두고 나온 조치라 협상 전망에도 먹구름이 드리워졌다는 분석이다.
상무부는 전날 낸 성명에서 “미국은 최근 수년간 수출 통제와 무역 차별 조치를 반복해왔다”며 “이같은 보호주의적 조치는 중국의 첨단산업 발전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상무부는 이어 “미국은 즉각 잘못된 행위를 시정하고 중국 기업에 대한 부당한 억압을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마드리드서 4차 협상 돌입
중국 허리펑 부총리가 이끄는 대표단은 14일부터 17일까지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미국과 새로운 경제·통상 협상을 시작한다. 이번 협상 의제에는 관세, 수출 통제의 남용, 틱톡 문제가 포함될 예정이다. 중국 관영 매체는 “펜타닐 문제와 연계된 미국의 대중 제재가 협상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미국은 지난 12일 중국 기업 23곳을 포함한 32개 기관을 수출 제한 리스트에 추가했다. 이 가운데 일부는 중국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 SMIC에 미국 장비를 불법 공급한 혐의를 받고 있다. 양국은 지난 7월 스톡홀름 회의에서 상호 보복관세를 90일간 유예하기로 합의했으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12일 이를 오는 11월 10일까지 연장 승인했다.
◇틱톡도 의제에 올라
틱톡의 미국 사업부 매각 문제도 협상 테이블에 오른다.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이 미국 자산을 매각하지 않으면 퇴출될 수 있다며 시한을 이달 17일까지 연장했기 때문이다. 중국 인민일보는 “중국 정부는 해외 법률을 위반하면서까지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요구한 적이 없으며 앞으로도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로이터는 “미국이 중국 기업에 대한 억제를 지속한다면 중국은 필요한 대응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중국 측 입장을 전하며 이번 조치가 협상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