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네팔 시위사태, 일단 소강…통금 해제 등 일상회복 '집중'

글로벌이코노믹

네팔 시위사태, 일단 소강…통금 해제 등 일상회복 '집중'

수실라 카르키 네팔 임시 총리가 14일(현지시간) 수도 카트만두 총리 청사에서 첫 정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EPA/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수실라 카르키 네팔 임시 총리가 14일(현지시간) 수도 카트만두 총리 청사에서 첫 정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EPA/연합뉴스
네팔의 대규모 반정부 시위로 인한 사망자가 72명으로 늘어난 가운데 전 여성 대법원장의 임시 총리 취임 이후 폭력 사태가 소강되고 있다.

14일(현지시간) AFP 통신 등에 따르면 수실라 카르키 임시 총리는 통행금지를 해제하는 등 일상 회복 조치를 취하고 시위대의 부패 종식 요구를 따르면서 6개월로 정해진 임기를 꼭 지키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카르키 총리는 이날 취임 후 첫 정부 회의를 갖고 "우리는 Z세대의 사고방식에 따라 일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 집단이 요구하는 것은 부패 종식, 좋은 통치와 경제적 평등"이라고 말했다.

이어 카르키 총리는"당신과 나는 이를 반드시 실현해야 한다"면서 "내년 3월 초순 총선 전까지 6개월만 총리직을 수행하고 하루도 더 남지 않고 물러나겠다"고 덧붙였다.
카르키 총리는 이날 총리 청사에서 시위 사태 사망자들을 위해 1분간 묵념한 뒤 회의를 시작했다. 네팔 정부에 따르면 이번 시위 사망자는 기존 51명에서 72명으로 늘었으며 치료 중인 부상자는 191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 명단에 경찰관 3명도 포함됐으며 시위로 혼란한 틈을 타 교도소에서 탈옥한 수감자들이 군경과 충돌로 사망자가 나왔다.

지난 12일 밤 취임한 카르키 총리는 전날에는 카트만두의 병원을 방문, 총상을 입은 시위자를 만나 나라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전날 수도 카트만두 등지에서 시위가 중단되고 평온을 되찾으면서 네팔 당국은 카트만두와 주변 지역의 통행금지 조치를 해제했다.

이에 따라 이들 지역에서는 지난 9일 밤 통행금지 조치가 시행된 이후 처음으로 교통 운행이 재개되고 시장·상점이 다시 문을 여는 등 일상 생활이 회복되는 분위기다. 시위 기간 길거리마다 대규모로 배치됐던 군경 병력도 전날부터 숫자가 크게 줄었다.

카르키 총리는 람 찬드라 포우델 네팔 대통령에 의해 임시 총리로 임명됐다. 그는 2016년 7월부터 약 1년간 여성 첫 대법원장을 맡아 강단 있는 판결과 부패에 강경히 맞서는 입장으로 대중적 지지를 받은 인물이다. 카르키 총리는 포우델 대통령과 아쇼크 라즈 시그델 육군 참모총장, 시위 지도자들 사이의 이틀 동안의 협상을 거쳐 선임됐다.

포우델 대통령은 카르키 총리의 권고에 따라 하원을 해산하고 내년 3월 5일 총선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한편 이번 시위는 지난 5일 네팔 정부가 가짜뉴스 확산을 막는다면서 유튜브, 페이스북 등 26개 소셜미디어의 접속을 차단하자 반발한 청년들의 시위가 시작됐다. 특히 부패 척결과 경제 발전에 소극적인 정부에 실망한 젊은 층이 대거 이번 시위에 가담하면서 카트만두뿐만 아니라 다른 도시로도 확산했다. 경찰이 지난 8일부터 최루탄을 비롯해 물대포와 고무탄을 쏘며 강경 진압을 해 사상자가 늘었고, 이후 시위대가 대통령과 총리 관저에 불을 지르는 등 상황이 더 악화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