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미국·중국, 관세 전면전 앞두고 또 충돌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미국·중국, 관세 전면전 앞두고 또 충돌

트럼프 "중국에 직접 대응 불사"…시진핑 "정당한 권익 반드시 지킬 것"
협상 재개 신호 속 '맞불 경고'
사진=오픈AI의 챗GPT-5가 생성한 이미지.이미지 확대보기
사진=오픈AI의 챗GPT-5가 생성한 이미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다시 정면으로 맞섰다. 양국 모두 "공은 상대방에 있다"며 관세 전면전을 앞둔 긴장 국면을 이어가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3일(현지시각)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중국산 제품에 최대 100%의 관세를 매기겠다고 경고했고, 시진핑 주석과의 회담 취소 가능성도 언급했다.

이에 대해 중국 외교부 린젠 대변인은 "미국이 잘못된 길을 계속 간다면 중국은 정당한 권익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단호히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은 이번 압박을 단순한 무역 전략이 아니라 첨단 기술 패권을 둘러싼 경쟁의 일부로 보고 있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트럼프-시진핑 회담은 예정대로 진행될 것"이라며 "중국이 응하지 않으면 직접 대응에 나설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것은 중국 대 세계의 싸움이다. 중국은 자유세계의 공급망과 산업 기반에 바주카포를 겨눴다. 우리는 이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충격 흡수 자신"…희토류로 맞대응


중국은 미국보다 충격을 견딜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상하이 화동사범대의 요제프 그레고리 마허니 교수는 "중국은 미국보다 충격을 흡수할 여력이 크다고 확신하고 있다"며 "트럼프는 연말 쇼핑철과 대법원의 관세 판결 전에 합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국은 희토류 수출 규제 강화를 통해 미국의 약점을 직접 겨냥했다. 희토류는 반도체, 통신장비, 미사일 등 핵심 산업 전반에 쓰이는 전략 자원이다. 중국은 미국이 반도체 수출 통제에 적용해온 '장거리 통제(long-arm jurisdiction)' 방식을 이번엔 역으로 적용했다.

루팅 노무라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은 트럼프식 협상법, 즉 극단적 제안과 상대의 약점 공략, 협상 결렬 가능성을 내비치는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장은 '전략 싸움'으로 인식


13일 뉴욕증시에서 S&P500 지수는 1.6% 올랐고, 중국 CSI300 지수는 0.5% 하락에 그쳤다.

크리스토퍼 베더 게이브컬 드래고노믹스(Gavekal Dragonomics) 부국장은 "중국의 수출 부문은 50% 수준의 미국 관세에도 버틸 수 있다"며 "관세가 100%를 넘지 않는 한 중국에 치명적이진 않다"고 진단했다.

중국의 9월 수출은 6개월 만에 가장 빠른 증가세를 기록했다. 미국의 압박이 이어지고 있지만, 중국은 수출 확대를 통해 무역전쟁의 충격을 상당 부분 완화하고 있다. 시진핑 주석은 이러한 경제 회복세를 외교 협상에서 우위로 삼고 있다.

트럼프, 국내 압박 속 '시간과의 싸움'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부통령 J.D. 밴스는 "결과는 중국의 대응에 달려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농민과 제조업계의 불만, 틱톡 사용 제한 논란, 내년 중간선거 부담 등 국내 정치적 압박에도 직면해 있다.

미국 내에서 중국에 강경한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여전하다. 베선트 장관은 "이번 주 미·중 실무 회담이 아시아에서 열릴 예정"이라며 "현재 논의 중인 90일 휴전을 이어가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누가 먼저 물러설까'…세계경제 향방 주목


이번 대결의 관건은 어느 쪽이 먼저 양보하느냐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이 세계 공급망을 쥐고 있다"는 논리를 내세워 동맹국 결속을 강화하고 있고, 시진핑 주석은 희토류와 기술 통제력을 앞세워 미국의 제재 완화를 노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갈등이 단기 협상용 전술에 그치지 않고, 양국의 산업과 금융 패권 경쟁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본다. 두 나라는 장기 대치가 세계 공급망과 무역, 금융시장 전반에 불확실성을 키울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어, 연말 회담과 정책 조정이 향후 흐름을 가를 것으로 보인다.

세계 경제는 다시 폭풍의 문턱에 섰다. 트럼프는 압박을, 시진핑은 버티기를 선택했다. 이제 남은 것은 단 하나. 누가 먼저 눈을 깜빡이느냐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