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우크라이나, 러시아 드론서 외국산 부품 10만 개 발견…"EU 제재에 구멍"

글로벌이코노믹

우크라이나, 러시아 드론서 외국산 부품 10만 개 발견…"EU 제재에 구멍"

벨라루스·암호화폐 통한 우회 거래 급증, 그림자 함대는 정보·전자전 기지로도 활용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드론과 미사일에서 미국과 서유럽산을 포함한 외국산 부품 10만 개 이상을 찾아냈다. 이미지=GPT4o이미지 확대보기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드론과 미사일에서 미국과 서유럽산을 포함한 외국산 부품 10만 개 이상을 찾아냈다. 이미지=GPT4o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드론과 미사일에서 미국과 서유럽산을 포함한 외국산 부품 10만 개 이상을 찾아냈다며 유럽연합(EU)의 수출 통제와 제재 집행을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지난 15(현지시각) 우크라이나 고위 외교관들이 러시아의 제재 회피 경로를 끊는 데 국제사회의 공조가 절실하다고 경고했다고 보도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제재 특사인 블라디슬라프 블라시우크는 키이우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EU가 회원국별로 제재를 집행하다 보니 균열이 생기고 있다""유럽 기업들에 대한 수출 통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주 세르히 키슬리차 제1외무차관과 함께 키이우에서 주요 7개국(G7) 특사들을 만나 러시아의 제재 회피 실태를 공유했다.

10월 대규모 공습서 美·유럽산 부품 대량 포착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주 러시아가 105일 단행한 대규모 공습에서 발사한 드론과 미사일 500대 이상에서 미국과 서유럽 국가가 만든 부품을 포함해 10만 개가 넘는 외국산 부품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군사 전문가들은 공습으로 파괴된 드론과 미사일 잔해를 분석해 기술 변화를 추적하고 어떤 재료와 부품으로 만들어졌는지 파악하고 있다.

폭발물을 실은 드론과 미사일은 우크라이나 에너지 시설에 대한 러시아 공습 확대에 핵심 무기로 쓰이고 있다. 이들 공격으로 전국에 정전 사태가 일어났고 전쟁으로 피폐해진 우크라이나 천연가스 생산량 절반 이상이 타격을 입었다. 러시아는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알래스카 회담이 결렬된 뒤 우크라이나에 대한 공습을 크게 늘렸다.

벨라루스 우회로 떠올라, 암호화폐·그림자 함대 활용


키슬리차 차관은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가 이웃나라 벨라루스에 대한 서방 제재 조정 사항을 특히 꼼꼼히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2022년 러시아 침공의 발판이 된 내륙국 벨라루스가 점점 더 드론 부품 거래 무대로 바뀌고 있다"고 지적했다.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은 이날 민스크에서 주요 관료들과 만나 서방 제재로 어려움을 겪는 자국이 트럼프 대통령과 '큰 거래'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블라시우크 특사는 개전 4년째를 맞은 러시아의 전쟁이 일부는 서방 제재 우회를 통해 자금을 마련하고 있으며, 암호화폐가 제재 회피의 핵심 수단 가운데 하나라고 설명했다. 그는 "러시아의 이런 방식은 암호화폐와 전통 금융 수단이 겹치는 경우가 많아 통째로 대응해야 한다""이미 수평선 너머로 멀리 간 기차를 잡아야 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키이우는 동맹국들에 모스크바의 암호화폐 자산 활용에 맞서 새로운 공조 대응을 마련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블라시우크 특사는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소유 구조를 자주 감추기 때문에 법인뿐 아니라 상표와 상호명까지 넓힌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는 또 러시아의 '그림자 함대'에 대해서도 경고하고 있다. 블라시우크 특사는 러시아가 석유 운송에만 유조선을 쓰는 게 아니라 정보 시스템을 실은 이동 기지로 활용하고 있으며, 사이버 작전과 GPS 교란에 쓰이는 전자전 장비 이동에도 쓰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EU는 러시아의 석유 수출 수익을 줄이기 위해 그림자 함대에 대한 압박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일부 국가들은 러시아의 석유 운송을 막기 위해 자국 해역 인근 선박들에 대한 검문을 강화했다.

키슬리차 차관은 "이제 우크라이나만 아니라 EU 상공에서도 드론이 날아다니고 있다""제재와 수출 통제만 있으면 안 되고 이행 집행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