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일본은행이 잠시 보류했던 조기 금리 인상 재개를 시사했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 타진으로 인해 자국 내 경제에 미치는 우려들이 후퇴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만 일본 내외에서 받는 정책적 압박의 종류가 다른 만큼 이를 얼마나 조율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남을 전망이다.
31일 지지통신은 일본은행이 미국 관세에 대한 우려로 올해 1월 금리를 인상한 후 정책 변경을 보류해왔으며, 최근 미·일 정상회담 등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개선된 만큼 12~1월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30일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기자회견을 통해 “향후 미국 경제의 하방 리스크는 7월과 비교해 다소 낮아졌다”라며 그동안 주목하고 있던 고관세에 따른 미국 경제 둔화에 대한 경계감이 지난 경제·물가 동향 전망(전망 리포트)을 발표한 7월보다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금리 인상 판단에 대해 “봄 노사협상(춘투) 전체 결과를 확인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초기 모멘텀이 어느 정도인지는 확인하고 싶다”고 말하며 내년 봄 협상 타결을 기다리지 않고 결론을 내릴 방침이 있음을 시사했다.
내년 봄 임금 협상에서 무난한 흐름이 지속된다면 시장 예상보다 빠르게 금리 인상을 할 수 있음을 천명한 것이다.
다만 자국 내부의 상황을 고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행이 정책을 바꾸기 위해서는 아베노믹스 계승을 내걸고 금융 완화를 중시해 온 다카이치 사나에 신 내각과의 조율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된다.
다카이치 일본 총리는 금융정책에 대해 “이것을 책임져야 할 것은 정부”라고 강조하며 일본은행의 금융정책 독립성에 개입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낳았다.
또 이런 와중에 외부적인 압박도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SNS를 통해 “일본 정부가 일본은행에 정책 여지를 인정하려는 의지가 사람들의 물가 인식을 안정시키고 환율의 과도한 변동을 막는 열쇠가 된다”라고 밝혔다. 저금리가 장기화되면 지나친 엔저·달러 강세를 초래할 우려가 있는 만큼 사실상 일본은행에 금리 인상을 촉구하고 있는 모양새다.
지지통신은 “국내외에서 정반대의 압박을 받는 우에다 일본은행 총재가 중앙은행으로서의 독립성을 유지하며 금리 인상의 시의적절성을 적절히 판단할 수 있을지는 이제부터가 고비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