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카이 메가포트, 비야디 등 중국 브랜드 남미 물류 허브 역할 톡톡
브라질, 비야디·GWM 현지 생산 시작… '가격 경쟁력' 앞세워 시장 확대 가속
브라질, 비야디·GWM 현지 생산 시작… '가격 경쟁력' 앞세워 시장 확대 가속
이미지 확대보기페루와 브라질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중국 브랜드는 이 지역 내 전기차 판매를 공고히 다지고 있다고 22일(현지시각) 환경 전문 매체 노티시아스암비엔탈레스가 보도했다.
페루에서는 2025년 1월부터 9월까지 135,394대의 신차가 판매되었으며, 이 중 7,256대가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로, 전년 대비 44% 증가한 기록을 세웠다.
이러한 진전의 핵심 역할은 리마 북쪽에 위치한 찬카이 메가포트(Chancay Megaport) 개장이었다.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에 따라 건설된 이 항구는 태평양 횡단 해운 시간을 절반으로 단축시켰다.
9월에 코스코 쉬핑(Cosco Shipping)은 찬카이 항구를 통해 칠레로 250대의 차량을 처음으로 환적했으며, 이미 칠레에서는 중국 브랜드가 전체 자동차 시장의 33%를 장악하고 있었다.
새로운 선적은 에콰도르와 콜롬비아에도 보내져 페루를 지역 유통 허브로 자리매김하게 했다. 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내연기관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인 BYD는 올해 말까지 리마에 네 번째 딜러점을 열 계획이다.
BYD는 이미 브라질, 콜롬비아, 에콰도르, 우루과이에서 전기차 판매를 장악하고 있으며, 10월에는 경제 및 무역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처음으로 아르헨티나에 진출했다.
우루과이에서는 BYD가 쉐보레와 현대에 이어 모든 종류의 차량 판매에서 세 번째로 큰 판매대가 되었으며, 중국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은 2023년 이후 두 배로 증가해 22%에 이르렀다. BYD 배터리 전기차(BEV) 모델의 경쟁력 있는 가격은 미화 19,000달러부터 시작된다.
특히 브라질은 중국 자동차 제조사들에게 전략적 시장이 되고 있다. BYD는 10월부터 바이아의 이전 포드 공장에서 전기차 조립을 시작했고, 그레이트 월 모터스(GWM)는 개조된 메르세데스-벤츠 공장에서 부분 생산을 시작했다.
하지만 브라질 산업계와 노동조합 단체들은 중국이 일시적인 저관세 장벽을 이용해 전기차를 수출하는 데 있어 충분한 현지 고용을 창출하지 못한다고 비판하며, 정부는 이미 관세 재부과를 시작했고 2026년 7월에는 35%에 이를 예정이다.
중국의 남미 확장은 중국 내 가격 전쟁과 새로운 목적지를 찾는 생산 흑자에 대응한 전략이다. 이 전략은 현지 수입업체와의 제휴, 경쟁력 있는 가격, 지역 은행을 통한 자금 조달을 결합한다.
찬카이 항구와 브라질 투자를 통해 중국 제조사들은 전기 이동성이 확산되고 소비자들이 더 저렴한 모델에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지역 자동차 지도를 형성하고 있으며, 남미 전기 모빌리티 전환의 주도적 주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