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취약계층 위한 실시간 서비스
병원·시장 등 일상 이동에 활용돼
병원·시장 등 일상 이동에 활용돼

'카카오 T 택시 대신 불러주기'
서비스가 누적 이용 1만 건을 넘어섰다고 11일 밝혔다.이 서비스는 고객이
'02-114'
로 전화해 출발지와 도착지를 말하면 상담사가 실시간으로 카카오 T 택시를 대신 호출해주는 방식이다. 별도 앱 설치나 회원가입 없이도 이용할 수 있으며, 상담원이 안내한 차량 번호를 확인해 탑승하고 하차 시 기사에게 요금을 직접 결제하면 된다.지난 3월 서울 지역에서 시작된 서비스는 현재 경기·인천·강원 등으로 확대되며 고령층, 장애인 등 디지털 취약계층의 이동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서울 강동구에 거주하는 한 고객은
"장애가 있어 앱 사용이 어려웠는데, 02-114로 카카오 T 택시를 불러 제때 병원에 도착할 수 있어 큰 도움이 됐다"
며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일하느라 부모님께 바로 택시를 불러드리기 힘들었는데, 02-114를 알려드린 후 부모님이 언제든지 직접 택시를 호출해 안전하게 이동하고 있다"
며 "항상 친절하게 응대해 주시는 114 상담원들과 앱 없이도 택시를 이용할 수 있게 해준 카카오 택시에 감사드린다"
고 말했다.KTis에 따르면 누적 이용 1만 건 중 다수는 병원, 시장, 경로당 등 일상생활에서 꼭 필요한 곳으로의 이동에 주로 사용됐으며 전체 고객의 약 20%가 서비스를 재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장 많이 이용한 고객은 총 66회에 걸쳐 서비스를 이용해 해당 서비스가 단기간 내 생활 밀착형 서비스로 정착했음을 보였다.
박우식 KTis 마케팅본부 본부장은
"예상보다 큰 고객 호응에 힘입어 운영 시간 연장 및 주말 운영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며 "앞으로도 카카오모빌리티와 협력해 디지털 소외계층의 이동 편의를 높이고, 보다 많은 고객이 서비스를 쉽고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
고 말했다.김지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inmai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