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코파워, 발전용 연료전지 전기안전공사(KESCO) 제품검사 합격

글로벌이코노믹

미코파워, 발전용 연료전지 전기안전공사(KESCO) 제품검사 합격

미코파워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발전설비. 사진=미코파워이미지 확대보기
미코파워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발전설비. 사진=미코파워
수소전문기업 미코파워가 국내 최초로 국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발전설비에 대해 한국전기안전공사(KESCO)의 제품검사를 통과했다고 15일 밝혔다. 미코파워는 이번에 합격한 150kW급 SOFC 시스템 ‘TUCY-Q150’이 전기효율 59.5%를 기록하며, 세계적 기술 수준과 견줄 만한 경쟁력을 입증했다고 강조했다.

미코파워는 셀, 스택, 시스템 등 SOFC 전주기를 독자 기술로 내재화한 국내 유일 기업으로, 2008년부터 기술개발에 착수해 2kW·8kW급 시스템 보급을 거쳐 대용량 발전용 시스템 국산화에 성공했다. 그간 수입에 의존하던 국내 연료전지 시장에 기술 자립의 전기를 마련한 것이다.

이번 KESCO 검사에서는 제품의 구조, 내구성, 전기적 안전성 등 전 부문에서 까다로운 기준을 통과했으며, 독자 기술 기반의 스택 개선과 시스템 최적화를 통해 장기적인 성능 향상과 원가 절감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는 점이 경쟁력으로 꼽힌다.

미코파워는 향후 데이터센터, 대형 건물, 선박, 생산시설 등에 SOFC 시스템을 보급해 에너지 자립 및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할 계획이다. 수백㎾급 대용량 제조 역량도 확보하며 글로벌 SOFC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다.
박진수 미코파워 기술본부장은 “KESCO의 까다로운 기술 검증을 통과하며 당사의 제품 품질과 안전성이 한층 더 강화됐다”며, “이번 성과는 국산 연료전지 기술의 신뢰도를 높이고, 국내 수소산업의 자립 기반을 확고히 다지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개선과 신제품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도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근 마감된 CHPS 일반수소 발전시장 입찰에서 다수 발전사업자가 미코파워 SOFC를 주기기로 채택했다. 인하대 최리노 교수는 “기술료 유출을 줄이고 국내 생태계 성장을 이끈 성과”라고 평가하며, 이번 성과가 정책 목표 달성에도 기여했다고 밝혔다.


이상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angho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