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KT, 국정원 검증 '토종 기술'로 양자 암호 인프라 연다

글로벌이코노믹

KT, 국정원 검증 '토종 기술'로 양자 암호 인프라 연다

KT "국내 제조 장비 중 국정원 검증 첫 통과"

KT가 개발한 양자키분배 기술이 적용된 장비가 국내 제조 장비 중 최초로 국가정보원 보안검증을 통과했다고 25일 밝혔다. 사진은 KT와 코위버 직원이 양자키분배 기술 적용 장비를 점검하며 보안 인증서를 소개하는 모습. 사진=KT이미지 확대보기
KT가 개발한 양자키분배 기술이 적용된 장비가 국내 제조 장비 중 최초로 국가정보원 보안검증을 통과했다고 25일 밝혔다. 사진은 KT와 코위버 직원이 양자키분배 기술 적용 장비를 점검하며 보안 인증서를 소개하는 모습. 사진=KT

KT가 개발한 양자키분배(QKD, Quantum Key Distribution) 장비가 국가정보원의 보안 검증을 통과했다고 25일 밝혔다.

양자키분배는 양자역학 원리를 활용해 정보 전달 과정에서 해킹과 도청을 원천 차단하는 기술이다. '양자 중첩' 현상을 이용해 동시에 0과 1 상태를 만들고 이를 통해 양자키를 생성·전달해 보안성을 높인다. 난이도가 가장 높고 보안성이 강력한 암호 통신 기술로 꼽힌다.

KT는 미래네트워크연구소가 개발한 원천기술을 국내 전송장비 제조사 코위버에 이전해 특화 장비를 만들었다. 장비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과기정통부 산하 기관의 보안 기능 시험을 거쳐 국가정보원 인증을 획득했다.
KT 측은 "순수 국내 기술 기반으로 양자 암호 인프라 생태계를 조성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장비는 중앙 노드 1대가 분산 네트워크 지역 노드 6개를 연결하는 1대 6 방식이다. 기존 1대1 방식보다 비용을 3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KT 측은 "국가·공공기관 및 지자체를 포함해 대규모 통신 보안이 필요한 기관들에게 보안 강화는 물론 합리적인 비용 혜택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국가·공공기관은 정보보호 시스템과 네트워크 장비에 대해 보안적합성 검증을 의무적으로 받아야 한다. 이번 인증을 통해 KT는 기관들에 보다 안정적으로 양자암호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KT는 양자암호통신 핵심특허 15건도 보유하고 있다. 원천기술을 코위버 외에도 국내 주요 기업에 이전하며 생태계를 확대하고 있다.

KT 측은 " 해킹, DDos 등 사이버 공격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기업의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도 커지고 있다"면서 "KT는 보유 기술을 활용해 개발된 양자키분배 장비의 보안인증서 획득을 시작으로 국내 양자암호통신 시장 활성화를 위한 기술과 서비스를 지속 개발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김지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inmai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