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환율 급등에 에너지 수입액 2배 '껑충'

공유
0

환율 급등에 에너지 수입액 2배 '껑충'

1~7월 원유‧천연가스 ‧석탄 수입액 비중 24%
수입량 증가는 미미한 반면 수입액 두 배 이상 급증
국제가격 고공행진에 원‧달러 환율상승도 원인

한국가스공사 평택생산기지에 정박한 LNG운반선이 배관을 통해 LNG를 하역하고 있다. 사진=한국가스공사(KOGAS)이미지 확대보기
한국가스공사 평택생산기지에 정박한 LNG운반선이 배관을 통해 LNG를 하역하고 있다. 사진=한국가스공사(KOGAS)
국제가격 상승에 원‧달러 환율 상승까지 겹치면서 원유와 천연가스, 석탄 등 에너지 수입액 비중이 우리나라 전체 수입의 4분의 1까지 치솟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지속, 준비 없이 갑작스럽게 진행한 신재생 에너지로의 전환에 따른 화석 에너지 공급망 차질로 에너지 가격이 고공 행진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환율까지 불안정해지면서 올해 안에 한국의 무역수지 적자를 줄이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13일 글로벌이코노믹이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를 활용해 수출입품목 분류체계 3단위(MTI 3단위) 기준에 따른 원유와 천연가스, 석탄 등 3대 에너지원의 올해 1~7월 누적 수입액은 집계한 결과 1024억88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538억4800만달러)에 비해 2배 가까이(90.3%) 급증했다. 1~7월 누적 대한민국 총수입액에서 3대 에너지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15.9%에서 올해 24.0%에 달해 전체 수입액의 4분의 1을 에너지 수입에 지출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수입 순위 1위인 원유는 올해 7월까지 617억4500만달러로 지닌 해 같은 기간(349억7600만달러)에 비해 76.5%, 3위인 천연가스는 지난해 123억3300만달러에서 237억8900만달러로 92.9% 증가했다. 석탄은 4위로 작년 65억3900만달러에서 올해 169억5400만달러로 무려 159.3% 급증했다.

수입액은 증가했지만 수입량은 특별히 늘지 않았다. 올해 7월까지 원유 수입량은 8007만3834t으로 전년 동기 7357먼8311t에 비해 8.8% 늘었고, 석탄은 7396만9437t으로 7120만6748t보다 2.6% 많았다. 천연가스 수입량은 올해 1~7월 2602만9918t으로 전년 동기 2715만4448t보다 오히려 4.1% 줄었다.

이러다 보니 국내 업계가 지급해야 할 수입액 부담이 커졌다. 올해 1~7월 3대 에너지원의 t당 수입가격은 원유 771.1달러, 천연가스 913.9달러, 석탄 232.0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475.4달러, 454.2달러, 91.8달러보다 각각 62.2%, 101.2%, 152.7% 증가했다.

수입량은 줄었는데, 수입액이 늘어난 것은 3대 에너지원의 국제시세가 큰 폭의 오름세를 지속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여기에 원‧달러 환율 하락이 본격화하면서 달러 결제 수입액 부담이 커졌던 것도 또 다른 원인이 됐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두바이산 원유의 평균 국제가격은 2021년 7월 배럴당 72.93달러에서 올해 7월 103.14달러로, 동북아 지역 천연가스 가격 지표인 알본·한국 가격지표(JKM)는 같은 기간 Mmbtu(100만 영국 열량 단위, 25만kcal의 열량을 내는 가스양)당 10.94달러에서 23.40달러로 올랐다. 석탄(호주탄)의 경우 t당 149.99달러에서 410.24달러까지 치솟았다.
여기에 우리은행 외환센터에서 고시하는 월별 원‧달러 평균환율(매매기준율)을 보면 2021년 7월 달러당 1145.66원에서 올해 7월에는 1309.05원으로 상승한 점까지 고려한다면 수입업계가 감내하고 있는 수입액 부담은 상당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러한 추세는 8월에도 이어졌다. 산업부에 따르면 7월 185억달러에 달했던 3대 에너지워 수입액은 8월에도 185억2000만달러에 달했다. 9월부터 계절이 바뀌어 에너지 수요가 급증하는 가을‧겨울철로 접어들면서 에너지 수입량도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원‧달러 환율은 상승세를 지속할 것으로 보여 이제는 개별 기업을 넘어 국가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무역업계 관계자는 “유가나 환율이 변동되면 실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3개월 기간이 있는데, 지난해부터 상황이 지속하면서 이미 수입업계는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라면서, “원‧달러 환율이 진정되지 않으면 달러 결제 부담액이 이익액을 넘어서 정상적인 사업을 해도 적자를 보는 상황까지 몰릴 수 있으므로 정부와 업계가 공동으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채명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oricms@g-enews.com